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잭 볼스윅,『기로에 선 남성』, 다음 세대에게 아버지와의 친밀감이 필요하다

by growingseed 2019. 8. 21.

기로에 선 남성

청소년들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아버지와 정서적인 유대를 갖지 못한 채 자라고 있는 것은 슬픈 현실이다. 아버지들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평생을 일에 헌신하고 있다. 이것이 전통적인 남성상의 윤리였지만, 오늘날 이런 남성상은 도전을 받고 있다. 아버지와의 친밀감 없이 자란 이 세대의 아버지들은 자녀들이 갈망하는 보살핌과 정서적인 필요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다. (184)

아들이 올바른 남성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도록 계도하는데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아버지다. 아들은 아버지의 언행을 통하여 남성상을 보고 배운다. 아들은 아버지에게서 배운 것을 기준으로 남성적인 행동을 시도한다. 또 이런 행동을 잘 해낸 아들은 자신의 남성성을 인정받고 칭찬받게 된다. (187)

공교롭게도 대부분의 아버지들이 중년기 전환기를 겪을 때 자녀들은 사춘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 때는 사춘기 자녀들과 중년기의 부모가 다같이 정체감 문제와 씨름하기 때문에 사춘기 자녀들에게 아버지 역할을 하기란 특히 만만치 않다. (19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