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 함께본영화17

Star Wars Episode 3 Revenge of the Sith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널 어둠으로 이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f8XrJh6XLU "Fear of loss is the path of darkside. Death is a natural part of life. Let go of everything you fear to lose." 2021. 5. 21.
Shrek The Final Chapter, 지금이 얼마나 소중한지 기억해 "I didn't know what I had until I lost it." 자가격리 중 함께 본 영화. 슈렉이 피요나 공주와 함께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다는 동화 같은 결말. 실제로는 얼마나 수고와 희생이 따르는 현실인지를 극 초반에 보여준다. 세 아이의 기저귀를 갈고 재우는 고된 육아는 슈렉이 이전에 누리던 자유와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사람들은 더 이상 자신을 무서워하지 않았고, 홀로 조용히 누리던 진흙탕 목욕도 할 수 없다. 위험하지 않은 Orge 가 되어버린 현실이 불만스러운 슈렉은 피요나와 말다툼을 벌인다. 그리고 잘못된 마법 계약에 서명을 한다. 자신이 가졌던 일상을 다 잃어버리고 나서야 자신이 가진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깨닫는 슈렉. 오늘의 일상에 감사하게 되는 영화이다. 열 살 딸은.. 2020. 8. 22.
Monsters Inc., 이름을 부르기 시작하면 - Mike: Boo? What's Boo? - Sulley: That's... what I decided to call her. Is there a problem? - Mike: Sulley, you're not supposed to name it. Once you name it, you start getting attached to it. 옷장 문을 소재로 한 또다른 영화. 옷장 문을 통해 몬스터들이 아이들 방으로 가서 아이들을 놀래키고 그 비명 소리로 에너지원을 삼는다는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애니매이션 영화. 극 후반부 설리와 마이크가 아이를 안고 랜달로부터 도망치는데, 문을 열고 닫으며 쫓고 쫓기는 추격 장면을 흥미롭게 그렸다. 마이크가 빨리 문제를 해결해 버리려고 아이를 아무 곳으로나 보내려.. 2020. 8. 18.
Astro Boy, 아낌없이 나누는 삶이 생명을 가져다 준다 “You may not be Toby. But you are still my son.” 아들 토비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박사는 아들의 기억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로봇을 만들어 내고 선한 에너지원인 블루 코어를 통해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 하지만 온전히 아들일 수 없는 로봇이 도리어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가중시키자 괴리감을 못 견디고 다시 로봇을 폐기하려 한다. 공중도시 메트로시티에서 땅 위로 떨어진 로봇은 인간 소년 토비가 아닌 아스트로라는 새 이름으로 친구들을 만난다. 우여곡절 끝에 세상을 구하려 나서게 되는데,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되는 아스트로의 이야기가 중심 메시지이다. 다음과 같이 말하며 자신의 몸을 내건지는 희생은 감동적이다. 다만 일본에서 그려진 만화를 배경으로 하는터라 가미가제가 떠올라 .. 2020. 8. 16.
Uglydolls, I'm broken and it's beautiful 아름다운 불완전함 완벽하지 않아서 아름다워 Moxy: Guys. What if this is the way to the Big World? Babo: But Ox says there is no Big World and he… Moxy: He didn’t know there was something else out there. But we do. This pipe, it’s real, and it has to lead somewhere. Maybe it’s the Big World. If anyone can figure it out, it’s us. 목시의 캐릭터가 좋다. 쉽게 좌절하지 않는다. 건강한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 못 생긴 인형이라고 어떤 아이도 사랑해주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메시지에 쉽게 굴복하지 않는다. "I.. 2020. 4. 16.
카, 우승컵은 그냥 빈 컵일 뿐이야 1. 맥퀸은 왜 피스톤컵을 갖고 싶어 했을까? 2. 맥퀸은 왜 피스톤컵을 포기하고 더 킹을 도와주었을까? 3. 맥퀸의 생각과 가치관이 바뀌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4. 사람들은 왜 성공하고 싶고 유명해지고 싶어할까? 내가 이루고 싶은 성공이 단지 빈 컵일 뿐이라면 우리는 인생의 어떤 목표를 가져야 할까? "It's just an empty cup." 피스톤컵을 꿈꾸며 우승 경쟁을 펼쳐 온 레이싱카, 라이트닝 맥퀸. 우연한 사고로 시골 마을에 발이 묶이게 된 그는 그 곳에서 자신이 추구해 온 인생의 목표가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마지막 레이싱 경주에서 고의적인 충돌 사고로 경주로 밖에 밀려난 더 킹을 보게 된 매퀸은 피스톤컵을 받을 수 있는 우승 기회도 포기한 채 더 킹이 결승선을 밟을 수 있게 돕.. 2020. 4. 9.
How to train you dragon | Because I want to remember what you say Astrid: It's a mess. You must feel horrible. You've lost everything; your father, your tribe, your best friend... Hiccup: Thank you for summing that up. [sadly] Why couldn't I have killed that dragon when I found him in the woods? Would've been better, for everyone. Astrid: Yep, the rest of us would have done it. So why didn't you? [Hiccup doesn't answer] Why didn't you? Hiccup: I don't know. I .. 2020. 1. 16.
Abominable, 슬쩍 혹은 대놓고 그려 넣은 중화사상과 패권주의 상하이에 사는 '이'라는 소녀가 실험실에서 탈출한 예티를 만나 벌어지는 모험 이야기. 스토리가 엉성한 부분이 없지 않으나 친구들의 우정 이야기는 아이들과 보기에 나름 감동적인 부분도 있었다. 양쯔강을 따라 에베레스트를 찾아가는 메인 스토리는 히말라야가 중국 소유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 '이'가 아버지의 흔적을 따라가고자 옥상에 붙여 둔 지도에는 9 dash line 이라고 불리는 남중국해에 중국 정부가 자신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그려 놓은 가상의 선이 그대로 드러나 있었다. 때문에 베트남과 필리핀에서는 이 영화가 상영이 금지되었다. 예티를 abominable snowman 이라고 부르기에 영화제목이 붙여진 것 같다. 위험스러운 중화사상과 어린이 애니매이션에까지 그려 놓은 그 야욕 때문에 '싫은, 진저리나는.. 2019. 11. 17.
주먹왕 랄프 2: Ralph Breaks the Internet, 우정은 친구를 자유롭게 해 주는거야 상상 속 인터넷 세상 아케이드 게임 속 살아있는 캐릭터들의 이야기를 아기자기하게 그려낸 전작 처럼 상상력이 번뜩이는 작품이다. 우리들이 일상 속에서 늘 사용하는 인터넷을, 다양한 인격체들이 살고 있는 상상 속 세계로 재치있게 구현해냈다. 와이파이를 타고 주인공들이 들어 간 인터넷 세상은 마치 우리들이 살고 있는 복잡하고 분주한 세상과 같다. 랜선과 와이파이를 통해 들어 온 수많은 사용자의 귀여운 아바타들이 검색을 통해 각각의 사이트로 이동해 가는 과정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쉬운 눈높이에서 재미있게 그렸다. 여러 광고 배너들, 컴퓨터 바이러스 등을 현실적으로,설득력있게 묘사했다. 디즈니 공주들의 등장과 뮤지컬 같은 Vanellope 의 노래 장면은 또 다른 재미다. 새로운 꿈을 찾아서 이야기는 이렇다. 오락.. 2018. 12. 1.
Small Foot, Be the Seeker of Truth 아이들과 영화를 본 지 오래된지라 모처럼 찾았던 영화관. 그다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는 캐릭터들, 큰 기대 없이 보고 있다가 영화가 던지고 있는 철학적 질문과 깊이에 무릎을 쳤다. 예티들이 살고 있는 설산 공동체는 모든 질문에 답을 가지고 있다는 스톤과 스톤키퍼를 중심으로 안정된 질서와 체계를 이루고 있다. 저마다 각자 맡은 역할에 만족하며 평화롭게 살고 있는 중 주인공 미고는 만나지 말아야 했을 '진실', 즉 스몰풋을 발견하고 혼란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진실을 감추려는 권위, 진실을 가공하려는 거짓이 가운데 진실을 마주하는 용기를 보여주는 미고와 친구들의 이야기가 울림이 있다. 한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신앙 체계에 기꺼이 질문을 던지고, 진실이 아닌 현실 안주를 요구하는 압박에 맞서, 기꺼이 진실을 .. 2018. 11. 4.
발레리나, 결핍과 선택 필리시에라는 고아 소녀가 발레리나로 꿈을 이루는 이야기. 국립발레학교에 들어가고 싶어서 서성거리던 필리시에는 유명 발레리나였지만 다리를 다친 후 청소부 생활을 하고 있는 오뎃을 만나고, 그녀를 통해 발레 지도를 받으며 성장한다. 내게 마음에 남았던 장면은 오디션 마지막 날을 앞둔 밤, 막무가내로 외출하려는 필리시에를 만류하던 오뎃과, 당신은 내 엄마가 아니지 않냐며 결국 제 뜻으로 집을 나가고 마는 필리시에의 모습이다. 부모의 권위와 보호 아래 자라지 않았기 때문이었을까. 남자 아이의 데이트 요청을 미루지 못하고 사랑을 갈구하는 결핍 때문이었을까. 신뢰의 결핍이었든, 사랑의 결핍이었든, 고집스러운 십대의 반항이었든간에 아무래도 아쉬운 장면이었다. 결국 그녀는 마지막 기회였던 오디션에서 탈락하고 고아원으로.. 2018. 10. 13.
빅 히어로, 다른 선택을 만드는 힘은 공동체에 있다 오늘도 동네 아이들이 집에 몰려왔다. 남자 애들에게 영화를 보여줄 요량으로 빅 히어로를 틀어주었다. 그리고 덩달아 나도 앉아 영화를 보게 되었다. 예전에 우리 아이들은 무서워했었는데, 아무래도 여럿이 같이 보니 볼 만 했나보다. 기억에 남는 장면을 곱씹다 보니 작중 소년 히로의 파괴적인 분노와 형의 친구들의 만류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히로는 형의 죽음을 초래한 칼라한 교수에 대한 배신감과 원망에 휩싸인다. 그리고는 의료용으로 설계되었던 형의 로봇 베이맥스의 칩을 뽑고 교수를 없애려까지 한다.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는 그의 파괴적인 분노도 수긍할만한 시점. 그러나 형의 친구들은 그를 붙잡고 그의 분노를 멈추게 한다. 함께 본 아내는 이렇게 설명했다. 딸을 잃은 칼라한 교수와 형을 잃은 히로 두 사람의 선택을.. 2018. 10. 12.
스머프 2, 아버지, 선택 "중요한 것은 네가 무엇이 되고자 선택하는 데 있다." 파파 스머프가 소속감과 정체성의 혼란으로 힘들어하는 스머펫에게 하는 말이다. 영화의 중심 메시지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는 입양아가 양육자 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과 신뢰 문제를 기본 구조로 삼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근본적인 정체성 문제에 대하여서도 시사해주는 바가 있다. (스머펫은 가가멜이 악한 목적을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자신의 존재의 출발점을 부정해야만 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가 중요하다. 우리는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이다. 그 시작점이 다르다. 우리는 열등하고 왜곡된 존재로 창조되지 않았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빚어진 존귀한 존재였다. 하지만 죄로 인해 우리의 형상이 깨어졌다. 여전히 우리는 우리를 지으신.. 2017. 8. 26.
카 3, 다음 세대를 달리게 하라 누군가의 가능성을 들여다 보고 그것을 격려하며 인도하는 기쁨과 보람을 상기해 주는 영화였다. 인상적이었던 장면이 있다. 맥퀸이 스모키를 만나 나눈 대화이다. 맥퀸은 허드슨이 사고 이후에 더이상 레이싱을 할 수 없었던 것이, 전성기보다 못한, 회복할 수 없는, 보다 못한 삶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스모키는 허드슨이 자신에게 보내 온 편지 속에 담긴 신문 기사와 사진 스크랩들을 맥퀸에게 보여 주었다. 그 속에는 맥퀸과 허드슨의 사진들이 있었다. 맥퀸이 이루고 있는 성취와 성장이 담겨 있었다. 허드슨은 어느 때보다 매퀸을 가르치며 즐거워하고 행복해하고 있었다. 어떻게 그를 돕고 가르쳐야 할지 끊임없이 물었다. 내 삶에 개입해 나를 가르쳐주셨던 스승이 생각이 났다. 내가 가르치던 시간들이 떠오른.. 2017. 8. 12.
영웅문, 초식을 보면 알 수 있다 초식을 보면 누구에게서 배웠는지 알 수 있다. 우연히 이루어진 곽정과 양강의 대결은 18년간 어떻게 성장해왔는지 단번에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강남칠괴와 전진교로부터 배운 곽정의 진보와 달리, 양강에게서는 매초풍에게 배운 사악함이 그대로 흘러나왔다. 나는 누구에게 배우고 누구에게 가르치고 있는가. 나는 어떻게 말하고 행동하고 있는가. 내가 받은 가르침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가. '네가 누구에게 배운 것을 알며' 디모데후서의 말씀처럼 가르침은 늘 인격적이다. 제자 훈련은 인격적인 관계와 영향 속에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2017. 1. 10.
정글북, "I'm not afraid of you!" 정글북 "I'm not afraid of you!"두려움을 주는 실체와 맞서 싸워야 한다. 두려움은 현실에 대한 왜곡과 거짓에서 비롯된다. 거짓 메시지를 분별하고 대적해야 한다. 극 중 카아는 모글리가 모르고 있던 과거의 일부 스토리를 비밀스럽게 들려주며 그를 안전하게 보호해주겠다고 속삭이지만 실상은 그를 집어 삼키려는 속셈이 있었다. 교묘한 속임은 쉬어칸에게서도 볼 수 있다. 쉬어칸은 다음 세대들을 현혹시키며 늑대 무리를 공격한다. 다를 너를 두려워한다. 너는 뻐꾸기 새끼를 키웠을뿐이다. 영리한 악의 세력의 거짓말에 현혹되거나 낙심해서는 안된다. 모글리에게도 쉬어칸은 너는 아무 것도 이제 없다, 너의 아비처럼 될 뿐이다 라며 그를 공격하려 한다. 모글리의 외침. 나는 너를 두려워하지 않아. 그것이 모든.. 2017. 1. 10.
Finding Dori 도리를 찾아서 도리를 찾아서 1. 단기기억상실증을 앓고 있는 도리, 어릴적을 기억해내고 잃어버린 엄마 아빠를 찾아 나선다. 도리 아빠 엄마는 잃어버린 도리를 여지껏 찾으며 기다리고 있었고, 어린 도리가 어느 방향에서도 집을 찾아올 수 있도록 조개 껍질을 하나 하나 놓아 길을 만들어 놓고 있었다. 실종 아동을 찾는 포스터를 지하철역에서 보면서, 벌써 20-30년이 지난 아이를 여전히 찾고 있는 부모의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그렇게 끝까지 찾는 것이 부모의 마음이고 하나님의 마음이다. 2. 부모님을 만난 도리의 첫 반응은 자기가 잘못해서 엄마 아빠를 잃어버렸다는 것이었다. 엄마 아빠는 도리가 찾아낸 것을 칭찬한다. 장애를 가진 부모의 마음은 어떨지 생각해본다. 성혜가 8살 때, 성동 농아 학교에서 오는 길 6번 버스를 .. 2016.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