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신학주제/06-4 사회참여5 Kent Annan, Slow Kingdom Coming, 세상의 거대한 요구 가운데 소명을 살아내게 하는 삶의 습관 Kent Annan, Slow Kingdom Coming: Practices for Doing Justice, Love, Mercy and Walking Humbly in the World, Downers Groves, IL: IVP, 2016 Over the past twenty years I’ve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succumbed to various failed justice shortcuts instead of living the freedom of faithful practices. I’ve been paralyzed by the complexity of trying to help others…. But I’ve also seen people be incred.. 2020. 12. 10. Clyde Wilcox, God's Warriors: The Christian Right in Twentieth-Century America, Baltimore, Marylan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2011.12 Clyde Wilcox, God's Warriors: The Christian Right in Twentieth-Century America, (Baltimore, Marylan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미국 보수 기독교의 정치 참여를 다루고 있는 자료를 찾다보면, 꼭 만나게 되는 저자의 이름이 있다. Clyde Wilcox. '기독교 우파' (Christian Right) 에 대한 연구로 정평이 나 있는 학자로서 그는 특히 1979년 Jerry Falwell 의 Moral Majority 이후 부상하고 있는 New Christian Right 에 대한 연구에 천착해 왔다. 건국 이래 정교분리를 외쳐온 미국의 근본주의 기독교는 1920년.. 2016. 6. 21. 로널드 사이더,『그리스도인의 양심선언』, IVP, 2005 로널드 사이더, 『그리스도인의 양심선언』, 이지혜 역, IVP, 2005The Ronald J. Sider, Scandal of the Evangelical Conscience: Why Are Christians Living Just Like the Rest of the World?, Grand Rapids, MI: Baker Books, 2005 디트리히 본회가 값싼 은혜라고 불렀던 것, 우리가 복음을 죄사함으로 축소시킬 때 값싼 은혜라는 결과가 생겨난다. 즉, 구원을 지옥에 대비한 개인 화재 보험쯤으로 생각하거나 인간을 영혼으로만 제한한다거나 죄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반쪽만 이해했을 때, 우리 문화의 개인주의, 물질주의, 상대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일 때 이런 일이 생겨난다. 또한 교회에 대한 성경의 .. 2016. 6. 19. 로널드 사이더,『이것이 진정한 기독교다』,서울:IVP, 1997 Ronald J. Sider, Genuine Christianity, (Zondervan Publishing House: Grand Rapids, MI.), 1996로널드 사이더, 『이것이 진정한 기독교다』, 김선일 옮김, (IVP: 서울), 1997, 책은 제 1부, ‘헌신된 그리스도인’, 제 2부 ‘균형 잡힌 교회’, 제 3부 ‘세상 속의 기독교’로 구성되어 있다. 거룩함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진다. 그가 풍성한 결혼생활을 헌신된 그리스도인의 증거로 삼은 것이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하나님은 사랑의 아버지이실 뿐 아니라, 공의로운 주권자라는 사실을 이해할 때에야 우리는 십자가를 제대로 깨달을 수 있다... 오늘날 교회는 하나님의 반쪽 성품만을 받아들이려 한다. 거룩함 없이 용서만 하는 새로운 하나님과 .. 2016. 6. 19. 박정신, Protestantism and Politics in Kore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3 박정신, Protestantism and Politics in Kore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3 미국 기독교 보수와 한국 기독교 보수의 형성과정에 대한 페이퍼를 쓰다가문장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내용으로 잘 쓰여진 한국인 교수의 책을 대하게 되었다. 한국 기독교의 역사를 진지하게 성찰하고 있고, 보수와 진보의 역학을 상세하게 꿰고 있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친정부적 보수 세력화되어있는 현재 기독교의 형성에 대하여저자는 1930년대 일제에의 부역과 미군정 아래 이승만 정권의 출범 등을 아우르며 그 기원을 분석하고 있다. 현재 숭실대에서 가르치고 있는 박정신 교수는 , 등한국기독교사에 대하여 여러 권을 집필하였는데, 한국 교회사를 읽는데 반드시 통과해야 할 저자.. 2016. 6.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