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John G. Allen, 『트라우마의 치유』, 계속 회피하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by growingseed 2021. 7. 16.

 

John G. Allen, 트라우마의 치유』, 권정혜 등 옮김, 학지사, 2010 

외상에 대한 균형잡힌 이해를 가질 수 있어 유익하다. 다만 결론에서 세속적인 치료의 한계를 본다. 희망의 근거를 의미, 박애, 자기 가치감에서 찾는데 그 한계가 안타까웠다

1. 회피

회피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를 규정하는 핵심 특징이라 할 만큼 외상 후에 흔히 일어나는 반응이다.... 회피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계속 회피하다 보면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23)

2. 외상의 정의와 문제 

객관적 측면에서 외상이란 어떤 사람이 죽음과 관련된 사건, 심각한 상해 또는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신체적 통합에 위협이 되는 사건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주관적 측면은 이러한 사건에 노출된 사람이 두려움과 무력감 그리고 몸서리쳐지는 공포감으로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가 현재 속으로 끊임없이 침습(intrusion)하는 것, 이것이 외상 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증상이나 정신과적 장애를 일으키는 사람들이 겪는 가장 주요한 문제다. 외상을 겪은 사람들은 고통스러운 기억과 플래시백, 악몽에 시달릴 수 있으며 외상 당시 경험했던 강렬한 감정과 끊임없이 싸우게 된다. (25) 외상의 핵심은 두려움과 외로움이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위로받고 사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것은 외상적 경험으로 가는 첩경이 된다. (155)

3. 외상의 위험 수준 

일회적 사건도 외상적일 수 있다. (28) 위험의 수준은 외상의 심각도 뿐만 아니라 외상에 노출된 개인의 취약성(vulnerability)과 탄력성(resilience)에 좌우된다. (55)

4. 슬픔의 기능

슬픔은 비탄(grieving)을 촉발하며 속도를 늦추고 내성을 격려하고 상실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사람의 빈자리는 크다. 상실한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기 때문이다. 슬픔은 회상과 애도라는 고통스러운 정신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놓아 보낼 수 있게 한다. 슬픔은 또한 소중하게 여기는 것과 연결되도록 하고 그것을 마음 속에 간직하도록 한다. (130)

5. 외상 치료의 목표 

외상치료의 목표는 외상적 기억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다. 치료의 목적은 회상을 더 의미 있고 정서적으로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154)

6. 치유: 정서, 운동, 연민, 희망 

고통스러운 정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정서에 대한 태도를 왜곡시킬 수 있다... 고통스러운 정서를 억누르거나 극복하기 위해서 자제하려고 노력하기 보다 고통스러운 정서를 포함해서 정서를 계발(cultivate)하는 것이 최선이다. (335) 운동은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상에 도움이 된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예측 가능성, 통제감, 성취감을 주며, 어떤 수준이든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성공에 이른다. (349) 외상을 겪은 사람에게는 연민(compassion)이 필요하다. 동정(sympathy)은 고통을 겪고 있는 누군가에 대한 관심이다. 공감(empathy)은 다른 사람의 정서적 상태를 이해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괴로워하고 있다면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부터 연민과 보살핌을 받을 만하다. (371) 희망은 개인이 느끼는 비극에 대한 하나의 반응이다. (424) 희망하기는 의미를 부여하는 일종의 적극적인 과정이다. (425)

 

알렌 박사의 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을 번역한 것으로, 외상의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한 결정적이고도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강력한 환자 교육법이 될 수 있는 책이다. 저자는 정신의학과 심리학뿐 아니라 철학과 신경과학의 최신 지견들을 총망라해서 외상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자신이 교육한 환자들에게서 배운 것과 집단치료와 개인치료에서 받았던 피드백을 주의 깊게 경청해서 얻은 통찰에 기초하고 있으며, 폭넓고 깊게 외상의 분야를 다루고 있다. 외상의 원인과 결과, 외상과 함께 나타나는 여러 문제와 부수적인 어려움들, 현재의 치료법과 새로이 시작되고 있는 치료법에 기초한 치유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