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8 저자별 도서 /08-1 레슬리뉴비긴

레슬리 뉴비긴, 『헬라인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IVP

by growingseed 2014. 6. 20.

 

레슬리 뉴비긴, 헬라인에게는 미련한 것이요홍병룡 역, 서울: IVP, 2005.

Lesslie Newbigin, Foolishness to the Greeks,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1986.

 


 

신앙의 사사화에 대한 비판.

공적 및 사적 부문을 포괄하는 삶의 전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되심과 왕되심을 인정하는 것. 그리스도가 유일한 진리임을 주장해야 하는 교회의 소명. 신앙이 사사화된 영역에 머무르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뉴비긴은 크리스텐덤이 무너진 서구 기독교의 대안을 아우구스티누스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믿음을 통한 지식에의 새로운 접근을 창안한 그는 '하나님의 도성'에서 악에 대한 현실적인 견해를 유지하면서도, 정의의 기초로서 사랑을 제시하며, 국가적 질서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하나님 나라의 예비적 실현과 가시적 표시인 것이다. 131-137.

 

뉴비긴이 '도덕적 다수'를 비롯한 미국의 종교적 우파의 인식을 비판하고 있는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다. 150. 한국 교회가 미국 근본주의를 답습하며 우경화를 거치고 있는 현실에서 그의 비판은 지금도 유효적절하다.

뉴비긴을 정적으로만 읽는다면, 그만큼 어리석은 일이 없을 것이다. 선교적 교회론을 주창한 미국 복음주의자 신학자들 사이에서 그가 학문적으로 인용되면서, 본래 가지고 있던 비판적 운동성이 오히려 희석되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1장 계몽주의 이후의 문화와 선교적 과제: 타문화권 선교에서의 쟁점

2장 근대 서구 문화의 역사와 특징: 서구 문화의 본질, 그리고 와해

3장 성경, 복음, 공동체: 성경의 권위가 서구 문화에서 실재로 부각될 수 있는가

4장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과학: 서구 문화의 지적 핵심

5장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정치: 서구의 정치

6장 우리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교회의 소명: 상호 대화를 가능케 하는 교회의 역할

 

1. 복음과 문화

리처드 니버, 폴 틸리히 - 타문화 선교적 관점과 경험이 부재하다는 뉴비긴의 지적. 10

서구 선교사들, 문화적으로 채색된 인식과 복음의 본질을 혼동함으로써 상대성을 지닌 문화를 마치 신적 권위를 가진 양 주장하였다.

 

2. 상황화

토착화와 적응이라는 용어가 가지는 한계. 11

상황화라는 용어의 가치는 그것이 복음을 특정한 순간에 어떤 한 문화의 총체적 맥락 속에 위치시킨다는 점이다. 11

상황화 관련 저술들의 약점, 근대 서구 문화를 대체로 무시하였다. 그러나 이 문화야말로 다른 어떤 문화보다도 복음에 대한 저항이 심하다. 서구 문화에 대한 뉴비긴의 성찰 요구.

 

3. 종교

문화에 포함시켜야 할 가장 근본적인 요소. 사물의 궁극적 본질을 파악, 삶을 형성하고 의미를 부여, 최종적인 충성을 요구. 12

 

4.

4.1 복음 전파의 모델, 문화 속 회심의 요구 15

그것이 진정 복음의 전달이라면, 그 언어에 구현된 사물의 이해 방식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할 것이다. 그것이 진정 계시의 성격을 지녔다면, 당연히 모순을 일으킬 것이고, 마음의 회심, 곧 근본적인 방향전환(메타노이아)를 요구할 것이다. 15

 

4.2 신학적 대화의 헤게모니 지적 19. 관련한 아티클들.

 

 

5. 타당성 구조

 

피터 버거. 근대 서구 문화의 맥락에서 기독교의 신앙적 주장이 처할 가능성에 관해 연구한 인물. 이단의 시대, The Heretical Imperative. 이 문화의 독특성은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타당성 구조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고 주장. 타당성 구조로의 일탈은 이단으로 간주. 궁극적 신념과 관련해서는 다원주의가 지배적, 따라서 개인은 궁극적 의문들에 대하여 나름대로 개인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모두 이단이 되라는 정언 명령 (heretical imperative)에 굴복하고 있는 셈이다. 20-21.

 

피터 버거. 기독교의 신앙적 주장이 처할 세가지 가능성. 연역적, 환원적, 귀납적. 1) 전통의 재확인, 칼 바르트. 2) 근대적 세계관을 궁극적인 것으로 수용, 기독교 전통의 일부마저 타협, 불트만의 비신화 프로그램, 3) 보편적 인간 경험, 인간 상황에 대한 실마리 역할을 하는 종교 체험, 슐라이어마허. 피터 버거는 이것이 근대 세속적 세계관의 조건 아래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주장. 초월성의 신호를 구별하는 것은 이성의 저울이라는 주장. 21-23

 

뉴비긴, 버거는 전통적인 타당성 구조들이 근대적 세계관과 만나면서 어떻게 와해되는지를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이 세계관의 만연과 권능이 곧 그것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옳게 상기시켜 주고 있지만, 그것 자체도 하나의 타당성 구조라는 사실을 감안하지 않고 있다. 사회적으로 용인된 타당성 구조가 없기 때문에 우리가 스스로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 자체가 지배적인 타당성 구조이며, 우리는 그 테두리 내에서 선택을 하게 된다.... 버거의 귀납적 방법 자체도 타당성 구조의 일부다. 24-25

 

6. 사적 세계와 공적 세계의 이분화

 

사적 세계와 공적 세계의 이분화는 근대 서구 문화의 토대를 이루고 있으며, 복음과 이 문화 사이에 실질적인 선교적 대면이 일어나려면 그런 이분법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26.

 

버거, 우리 모두가 이단자일 필요가 없는 하나의 세계가 엄연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추고 있다. 가치라고 불리는 세계와 구별되는 이른바 사실이라는 세계. 27. 사실의 개념이 서구 문화에서 기능하는 방식.

 

개인적인 가치관의 영역에서는 다원주의가 군림하고 있다. 31.

 

가치와 사실의 분리는 사적인 삶과 공적인 삶의 분리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서구 문화의 특징 중 하나이다. 계몽주의의 도전에 대한 기독 교회의 반응은 이런 이분법을 받아들이고, 사적인 부문으로 물러서는 것이었다.... 기독교는 사적인 영역 중의 한가지 선택안으로서 그리고 특정한 가치관을 옹호하는 주창자로서 상당한 성공을 구가할 수 있다. 교회가 더욱 성장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온세계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주장은 실질적으로 묵살되고, 다양한 종교 체험 가운데 하나로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31

 

이교주의. 기독교의 배척으로부터 태어난 것인 만큼 기독교 이전의 이교주의보다 복음에 대한 저항이 훨씬 더 심하다. 우리 시대에 가장 도전적인 선교의 최전선은 바로 이 곳임이 분명하다. 32.

 

 

6. 교회의 소명

 

6.1 공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도전, 정의

 

사적 세계와 공적 세계간의 이분법은 서구 문화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의 핵심 열쇠에 해당한다. 그것을 용납하는 것은 초대교회가 수많은 순교자의 피를 대가로 지불하면서까지 거부했던 굴복을 자청하는 셈이다. 170.

 

공적 이데올로기에 도전하지 않는 개인 구원의 사적 종교는 과거 로마의 법 아래서 완벽한 안전이 보장되었는데, 이는 오늘날에도 마찬가지다. 그런 식으로 오늘날 복음주의는 우리 사회의 보호 아래 아주 번창하게 되었다....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는 국가가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하나님의 정의를 반영할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도록 요구한다.... 제자를 삼는다는 것은 사람들을 불러 인간사 모든 분야에서 하나님의 정의의 표지요 일꾼이 되도록 구비시키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이름을 영접하도록 초청하되 이와 같은 진정한 부딪힘으로 이끌지 않는 복음 전도는 거짓된 것으로 배척받아야 마땅하다. 170.

 

6.2 뉴비긴의 7가지 제언

 

교회가 세속 문화로부터 적절한 차별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에 대해 합당한 책임을 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 서구 문화와의 대면을 위해 필요한 요건. 1. 종말론의 회복, 2. 자유에 대한 기독교 교리(관용) - 소수반대파를 억압하는 기독교 국가적 관점의 포기, 3. 탕성직화된 신학, 평신도 신학 - 핸드릭 크래머, 비설 후프트 등,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도예베르트의 영역 주권. 4. 교파주의의 이론과 관행에 대한 철저한 신학적 비판. 교회의 연합. 5. 타문화에 의해 조성된 기독교적 방식으로 서구 문화를 보는 것. 6. 서구 사회의 공리로서는 그 진실성을 입증할 수 없는 믿음을 견지하고 그것을 선포하는 용기. 근본적 회심과 담대한 증언. 7. 찬양의 공동체. 171-19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