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6 신학주제/06-1 공동체

레슬리 뉴비긴,『교회란 무엇인가』, IVP, 2010

by growingseed 2016. 6. 21.

 

레슬리 뉴비긴, 교회란 무엇인가, IVP

 

1. 교회의 본질적 요소로서 선교 174-175

 

 

 

 

구원의 본질에 관한 이 진리는 교회론의 결정적 요소가 되어야 한다. 교회의 존재 이유는 그리스도의 초림으로 시작되어 그 분의 재림 때 완성될 그 구원과 관련이 있다. 그 완성은 온 세상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교회는 그 구원을 지고 온 세상으로 가는 행위 속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교회가 선교로 존재하는 것은 불이 타는 것으로 존재하는 것과 같다. (에밀 브루너) 즉, 교회는 그리스도와 세상 사이에 있는 자기장 안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 분 안에서 나누는 코이노니아는 세상을 향한 그 분의 사도직에 참여하는 일이다.

 

 

 

 

가톨릭과 개신교의 토론

 

 

 

 

교회가 선교적 정체성을 잃어버리면 교회의 이차적 본질 뿐 아니라 일차적 본질까지 상실하게 된다. 선교 사역은 적장한 선에서 수행하면 좋은 것이지만 그게 없다고 교회가 쓰러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는 신약 성경과 전혀 양립할 수 없는 견해이다. 세상을 향해 그리스도의 대사로서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왕 같은 제사장이라는 호칭도 잃어버릴 수 밖에 없다.

 

 

 

 

2. 세상을 향하는 교회 178-179

 

 

 

 

종말론적이고 선교적인 관점을 잃어버리면, 교회의 할 일은 각 사람을 이 악한 세대에서 구출하고 다가올 세상을 위해 안전하게 보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런 생각이 팽배해지면 교회의 일차적 의무는 자기 교인을 돌보는 일이 되고, 바깥에 있는 자들에 대한 의무는 이차적인 것이 된다. 교인은 그저 교회가 집행하는 은혜의 방편을 수동적으로 받기만 하는 존재로 보는 목회 개념이 자리잡게 된다. 이른바 교회는 돈을 받고 하는 목회 사역과 동일시되기에 이른다. 성직주의를 반대하는 교회에서조차 이런 일이 발생한다.

 

 

 

 

일면의 진리가 있으나, (목회자의 청지기적 의무) 교회 전체가 왕 같은 제사장의 책임을 갖고 교회는 각 지체가 각기 다른 역할을 지닌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강조하는 것이 옳다.

 

 

 

 

3. 목적으로서 존재하는 교회

 

교회는 수단인 동시에 목적, 교회를 오로지 선교적 기능으로만 규정짓는 것은 위험하다.

 

 

 

 

호켄다이크, 179-180

 

지나치게 교회중심적인 선교 사역 개념이 위험하다. International Review of Missions.

 

 

 

 

교회, 유산을 담보하는 성령의 공동체. 교회의 삶이 하나님 자신의 삶에 참여하는 것.

 

하나님 나라를 미리 맛보다. 사도직, 교회가 사람들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화해시키는 것

 

 

 

 

 

 

 

4. 연합에 의존하는 선교, 선교에 의존하는 연합

 

 

 

 

 

 

 

5. 해설: 최형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교회의 재연합 Reunion of the Church, 1948

 

교회란 무엇인가, 1953

 

 

 

 

본서는 교회에 관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헌장인 인류의 빛 Lumen Gentium 의 핵심적인 개념을 형성하는데 영향일 미쳤다. 선교 사역을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와 서구의 세속화와 신이교주의의 발흥으로 인한 서구 교회의 퇴락을 목격한 레슬리 뉴비긴은, 심각한 위기와 절망을 감지하고 교회의 선교적 본질을 찾으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전개해나갔다.

 

 

 

 

자유주의와 근본주의가 모두 잘못된 전제에서 나왔다. 양 진영의 분열은 계몽주의 모더니즘이 지배하는 서구 문화에 내재한 가치와 사실의 깊은 분리, 즉 주관과 객관에 대한 이원론적 접근에서 나온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