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 선교신학/05-2 성경적 기초

크리스토퍼 라이트,『하나님의 선교』, 성경 본문 자체가 선교 활동의 산물이다

by growingseed 2021. 7. 31.

 

근본적으로 우리의 선교는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부르심과 명령에 따라, 하나님 자신의 역사 안에서, 하나님의 피조물의 구속을 위해,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25)

선교적(missional): 하나님의 선교의 역동적 의의와 오늘날 기독교 선교와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해석을 뜻한다.

“Our God Is a Missionary God", John Stott, The Comtemporary Christian (Downers Grove, Il, Inter Varsity Press, 1992), pp.321-326 현대를 사는 그리스도인 (IVP)

1. 선교적 해석학을 찾아서

(선교 명령의 타당성은) 따로 분리된 본문들과 사건들이 아니라, 신구약의 중심 메시지에서 끌어내야 한다. 오늘날 교회에 중요한 것은 교회가 하고 있는 일을 따로 분리된 몇 개의 성경 본문이 말하는 것과 외견상 부합시키는 것보다, 교회와 성경 메시지의 본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45) David Bosch, "Hermeneutical Principles", pp.439-440

우리는 다국적 교회와 다방향 선교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고 그에 걸맞게 다문화적 해석학이 공존한다... 해석학적 다양성은 물론 성경 자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신약은 지금의 구약 성경에 대한 해석학적 혁명을 통해 태어났다. 그리고 초대교회 안에서도 상황과 필요에 따라 같은 본문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었다. 그들은 선교의 산물인 유대 그리스도인과 헬라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다룰 것을 요구한다고 생각했다... 성경 본문과 저자의 역사적, 구원사적 맥락이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할 때도, 본문을 읽는 독자들의 다양한 관점은 세계 교회가 풍성한 해석을 누리게 되는 또 한 가지 매우 중요한 요소다. (45-46)

"복음이 해석학적 기능을 갖고 있음을 이해하는 성경의 해석의 다양성과 일관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해석의 다양성 속에서) 복음은 일관성과 공통성을 제시하는 틀 역할을 한다." (48) James V. Brownson, "Speaking the Truth in Love: Elemnets of a Missional Hermeneutic", The church Between Gospel and Culture, ed. George R. Hunsberger and Craig Van Gelder )Grand Rapids: Eerdmans, 1996), pp.232-233.

한 걸음 더 나아가 브론슨이 오로지 신약적 용어로만 논하고 있는 복음이 사실은 창세기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48)

2. 선교적 해석학의 형성

(성경 본문의) 기록과정은 종종 본질상 대단히 선교적이다. 많은 본문은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의 계시를 이해하고 살아내며 세상에서 하나님의 구속 활동을 행하는 과정에서 겪은 투쟁과 갈등과 고통에서 나온 것이다. 그 갈등은 때로는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발생하는 내적 갈등이었다. 또 때로는 주위의 다른 종교적 주장들 및 세계관들과 경합하는 외적 갈등이었다... (그것은) 몇 가지 선교학적 함의들을 찾는다는 말이 아니다. 그것은 어떻게 본문이 종종 하나님의 백성이 선교적 상황에서 다루어야 하는 문제, 필요, 논쟁 혹은 위협 등으로부터 생겨났는지 찾아보는 것이다. 본문 자체가 선교 활동의 산물이다. (58)

구약과 신약을 하나로 통합해주고 그 다양한 주제들을 하나의 주제로 조화시키는 것은 바로 이 선교적 측면이다... 성경 해석에서 선교라는 차원은 성경 전체에 구조를 부여한다.. 신약이 보여주는 것처럼 구약을 선교적 차원에서 해석할 때, 다른 어떤 신학적 주제보다 탁월하게 그러한 구조를 확립할 수 있다.” (60) David Filbeck, Yes, God of the Gentiles Too: The Missionary Message of the Old Testament (Wheaton, Ill. Billy Graham Center, 1994), p.10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피조물 전체를 위해 하나님의 세상에 관여하는 하나님의 백성을 통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를 제시한다는 가정에서 나온다. (61)

본문을 읽으면서 우리는 하나의 메타 서사, 한 가지 거대 서사를 깨닫게 된다. 그것은 모든 세계관 및 메타 서사들과 마찬가지로, 사물의 존재방식과 그것들이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 무엇이 될 것인지를 설명한다. (65) :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본질은 무엇인가?), 우리는 누구인가? (인간의 근본적 본질은 무엇인가?),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왜 세상은 그처럼 뒤죽박죽인가?), 해결책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열방에 대한 기독교 선교는 (이스라엘) 백성이 부름받은 것과, 그들이 자신들과 자신들의 이야기를 보는 방식에 단단히 뿌리박고 있다. 구약에서 그 이야기에는 과거와 미래가 있었으며, 둘 다 윤리적, 선교적 반응을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교회 역시 기억하고 소망하는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미래를 가지고 있는 백성이었다. 아브라함의 부르심에는 그의 후손을 통해 하나님이 땅의 모든 족속에게 복을 주시겠다는 약속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비전은 이스라엘의 삶의 각 시대마다 명확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모호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구약 여러 곳에서는 하나님이 이스라엘 안에서 이스라엘을 위해 무엇을 하셨으며, 어떻게 이스라엘이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반응을 보였는가를 열방들이 주시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4:5-8; 29:22-28; 36:16-23). 궁극적으로 이스라엘은 열방을 위해 존재했다. (66-67)

대계명. 유의할 점은 두 계명 다 하나님 야훼의 정체성, 독특성, 특이성 그리고 거룩성에 대한 직설법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6:4; 19:2)... 우리 온 존재를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우리 자신처럼 사랑하라는 것이다... 우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일로 부르심을 받았건, 그것은 삶 전체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대위임령보다 먼저 나오고, 그 명령의 기저에 있고, 그 명령을 지배한다. 나님의 대한 사랑과 열방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열방을 제자로 만들 수가 없기 때문이다. (71)

3. 살아계신 하나님은 이스라엘 안에서 자신을 알리신다.

성경에서 하나님은 그 분이 행하시고 말씀하시는 것을 통해 자신을 알리신다. 그래서 하나님의 전능하신 행동에 대한 기록과, 그 행동을 예언하고, 설명하고, 경축하는 말씀은 구약 문헌의 많은 부분에서 대등한 핵심을 이룬다... 출애굽과 바벨론 포로 귀환 사건은... 이스라엘이 그들의 하나님을 알게 된 중대한 기회였다. (93)

출애굽을 통해 이스라엘이 야훼에 대해 알게 된 중대한 진리는 그 분이 다른 신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가장 위대하시는 것이다. (96)

이스라엘의 주장에서 놀라운 특징은 야웨가 자신의 언약 백성에 관한 일뿐 아니라, 모든 민족의 전체 역사를 주관하신다는 것이다. 대체로 고대 근동의 다른 민족들은 자신들이 믿는 신이 자기 민족의 권세를 확장하거나 국가의 영토나 성을 방어한다고 주장하는데 만족했다. 다른 고대 근동 신들이 제 삼자의 역사나 정치, 운명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며, 실제로 그것을 언급할 때에도 보통은 자신들의 나라를 매개로 해서 언급한다. (105)

야웨는 유일하시다. 야웨는 그 분의 말씀을 통해 주권을 행사하신다. 야웨는 자신의 이름을 위해 행동하신다. 야웨의 주권은 모든 피조물에게 미친다. 야웨는 자신의 유일성과 보편성을 증거하는 일을 자기 백성에게 맡기신다. 야웨는 편애하지 않으신다. 야웨는 어떤 나라든 심판의 대행자로 사용하실 수 있다. 하나님의 백성은 심지어 심판을 받을 때도 여전히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하나님의 백성이다.

증인의 일차적 책임은 자신들이 아는 것을 증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아는 것에는 막대한 책임이 수반된다. (1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