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 휴 미실다인, 『몸에 밴 어린시절』, 가톨릭출판사, 2005
W. Hugh Missildine, Your Inner Child of the Past
1. 어린 시절에 형성된 감정이 자신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결정한다.
당신이 자신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느냐 그리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과 행동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고 평가하느냐 하는 것은 당신의 삶을 살아가는데 핵심이 되는 문제이다. 당신이 하는 일과 때로는 당신이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일은 대개 당신이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이와 같은 감정은 엄청난 곡해를 불러일으키기 쉬운데, 그러한 곡해는 어린 시절에 그 뿌리를 박고 있으며, 그리하여 불필요한 고통을 많이 느끼게 만든다. 대개의 경우 이것은 오래 전에 자기 부모들의 태도에 의해서 형성된 어린 시절의 감정이 계속해서 드러나는 것이다. 어린이는 자기 부모가 자기에게 기울이는 관심의 정도에 따라서 자신이 가치 있고, 능력 있고, 중요하며, 개성 있는 존재라는 의식을 발전시켜 나간다. 어린이는 자신의 요구에 대해서 보여 주는 부모의 사랑과 인정과 관심에 비추어서 자신을 이해하거나 의식한다. 또한 어린이는 일찍부터 어떻게 하면 부모에게 인정 받고 무엇을 하면 부모에게 비난을 받게 되는지를 터득한다. (p49)
2. 친절하면서도 단호한 부모 구실
자신의 내재과거아의 감정을 관대하게 대함으로써 자신에게 친절하면서도 단호한 부모 구실을 할 수 있다면, 흔히 겪는 긴장이나 짜증과 초조함에서 벗어날 수 있다. 진정으로 당신다워질 수 있다. (p48)
3. 부모의 탓을 하지 말라
어쨌든 간에 이제는 우리는 성장했으며, 우리의 부모를 어렸을 때 생각했던 것처럼 그렇게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라 있는 모습 그대로 파악할 수 있게 도었다... 물론 그들은 우리를 키우면서 어느 면에서는 실수도 하였지만, 그러나 그들 입장에서는 자기들이 이해한 바에 따라서 최선을 다한 것이다... 당신은 자신의 내재과거아를 알아보는 법을 터득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어렸을 때 겪은 해악을 끼치는 태도들을 조심스럽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당신이 자신에게 부모 역할을 하면서 계속해서 이와 같이 해악을 끼치는 태도들로 자신을 괴롭히지 않게 하려는 데 있다. (p55)
4. 결혼 관계 속에서 만나는 나와 배우자의 내재과거아
우리 각자는 자신 안에 내재과거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결혼생활은 네 삶이 서로에게 순응할 것을 요청한다.... 결혼하면 상대방의 내재과거아와 직접 마주치게 된다... 약혼자가 자기 부모를 대하는 태도가 곧 그가 장차 자기 배우자를 대하는 태도가 될 것이다.
5. 완벽주의, 강압, 유약, 방임, 심기증, 응징, 방치, 거부, 성적 자극
6. 당신에게 새로운 부모 구실을 하라
완벽주의와 강압, 자신에게 부과하는 압박감이나 요구사항들을 제거하라
'04 영성기도 > 04-2 자아발견과 성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팀 슬레지, 『가족치유 마음치유』, 역기능가정에서부터 비롯된 수치심은 상호의존적, 열등적인 관계를 유발한다 (0) | 2020.09.18 |
---|---|
스캇 펙, 『아직도 가야 할 길』, 자아존중감은 자기훈련의 주춧돌이다 (0) | 2020.08.08 |
파커 팔머,『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소명은 이미 주어져 있는 선물이다 (0) | 2020.03.09 |
파커 팔머,『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 할 일을 묻기 전에 내가 누구인지를 먼저 물으라 (0) | 2020.03.09 |
닐 앤더슨, 『내가 누구인지 이제 알았습니다』, 올바른 인식에서 올바른 감정이 나온다 (0) | 2019.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