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심리학자들 가운데 스코트 펙이나 도로시 테노브는 사랑에 빠지는 감정을 "사랑"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한다고 단언한다. 테노브 박사는 진정한 사랑과 구별되는 단어로 사랑에 빠지는 감정을 "생리적인 사랑" limerance 이라고 부른다.
펙 박사는 사랑에 빠지는 사랑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고 결론 짓는다. 첫째, 사랑에 빠지는 것은 의지에 따른 행동이나 의식 있는 선택이 아니라는 것이다... 둘째, 사랑에 빠지는 것이 진정한 사랑이 아닌 것은, 그것이 노력 없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랑에 빠진 상태에서 하는 행동은 훈련이나 의지적인 노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셋째, 사랑에 빠진 사람은 상대방의 개인적인 성장을 촉진시키는 데 진심으로 관심이 없다. (M. Scott Peck, The Road Less Travelled, New York: Simon& Schuster, 1978, 89-90)
개리 채프먼, 5가지 사랑의 언어, 생명의 말씀사, 1997, 2003, 47-48
Gary Chapman, The Five Love Languages, The Moody Bible Institute of Chicago, 1995
'06 신학주제 > 06-2 이성교제와 결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사 맥민, 『성, 거룩한 갈망』, 깨어진 세상에서 온전한 친밀함을 회복한다 (0) | 2019.07.25 |
---|---|
개리 채프먼, 5가지 사랑의 언어, 말을 배우듯이 사랑을 배운다 (0) | 2018.12.22 |
스티븐 아터번,『모든 남자의 참을 수 없는 유혹』, 얼마나 더 아내와의 연합의 성장을 방해할 것인가 (0) | 2016.06.23 |
황영철,『이 비밀이 크도다』,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를 지향하라 (0) | 2016.06.23 |
죠이스 허기트, 『데이트와 사랑의 미학』,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 (0) | 2016.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