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4 영성기도/04-1 영성훈련

리처드 포스터, 『묵상기도』, ‘하가(haga)’와 ‘시아흐(siach)’

by growingseed 2018. 12. 22.

리처드 포스터, 『묵상기도』, IVP, 2012

Richard J. Foster, Sanctuary of the Soul: Journey into Meditative Prayer, InterVarsity Press, 2011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구속자이신 여호와여 내 입의 말과 마음의 묵상이 주님 앞에 열납되기를 원하나이다. (19:14)

묵상기도에 대한 이해를 더 깊고 풍요롭게 해 주는 두 개의 히브리어가 있다. 바로 하가(haga)’시아흐(siach)’이다. 영어 성경은 보통 이 두 단어를 다 묵상하다로 번역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 두 히브리어는 중얼거리다, 신음소리를 내다, 속삭이다, 숙고하다, 반복해서 말하다, 깊이 생각하다그리고 비둘기같이 슬피운다’(59:11)까지 아주 많은 의미를 전달한다. 보통 이 두 단어는 세상 속에서 하나님이 하신 일 혹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조용한 묵상을 나타낸다. 특별히 토라, 즉 하나님의 율법을 묵상하는 경우에는 소리내어 읖조리는 것을 포함한다 (1:8) 여호수아서에 나오는 이 구절은 묵상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 담긴 한 가지 중요한 요소를 강조한다. 그것은 바로 순종이다. 이는 세상 도처에 있는 수많은 종교들이 실천하는 다양한 형태의 묵상과는 뚜렷이 대조되는 모습이다. 22-23

진정으로 집중하기 위해서 치러야 할 대가는 우리 내면의 삶에 유용하지 않거나 필요하지 않은 것에는 무엇에든지 의지적으로 관심을 갖지 않으려는 확고한 결단이다. 토마스 머튼

 

Julian of Norwich (1342-1416), Showings

Teresa of Avila (1515-1582), The Interior Castle

Brother Lawrence of the Resurrection (1614-1691), The Practice of the Presence of God

Madame Guyon (1648-1717), Experiencing the Depths of Jesus Christ

Jean-Pierre de Caussade (1675-1751), Self-Abandonment to Divine Providence

Jean-Nicholas Grou (1730-1803), How to Pray

Ole Hallesby (1879-1961), Prayer

Frank Laubach (1884-1970), Letters by a Modern Mystic

Sadhu Sundar Singh (1889-?), At the Master’s Feet

Catherine de Hueck Doherty (1896-1985), Poustinia

A.W.Tozer (1897-1963), The Pursuit of God

Thomas Merton (1915-1968), Spiritual Direction and Meditatio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