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 복습 위주로 깊이 있게 공부하게 한다
복습 위주의 깊이 있는 자료조사를 통한 습득이 중요하다. 많은 교육자가 창의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선행’보다는 철저하게 파고드는 ‘복습’을 강조한다. (172)
버커니어식 학습 – 인터넷과 책을 통해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을 변화시키는 지식을 익혔을 때만 진정한 배움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2. 학습: 질문 공책을 만들라
독서공책 대신 아이 스스로 의문을 가진 것에 대한 질문 공책을 만들게 해야 한다. 그리고 관련 내용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과정을 적게 하는 것이 아이들이 앞으로 살아갈 시대에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매사 ‘왜?’라는 질문이 생기도록 유도하는 공부 습관이 중요하다. (192)
학습 목표를 버리고 학습 질문을 잡아라. (198)
'06 신학주제 > 06-3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세기, ‘한국 MK를 위한 최선의 교육과 한국 교사 선교사’, 선교적 교사 공동체의 필요 (0) | 2020.06.23 |
---|---|
장은경, ‘MK 사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어느 학교에서 공부를 해도 홈스쿨링은 여전히 필요하다 (0) | 2020.06.23 |
김선호, 『초등 사춘기, 엄마를 이기는 아이가 세상을 이긴다』, 방문을 잠그고 들어가는 것은 아이의 권리다 (0) | 2020.03.22 |
김선호, 『초등 사춘기, 엄마를 이기는 아이가 세상을 이긴다』, 절친과 왕따는 다르지 않다 (0) | 2020.03.22 |
김양재, 『문제아는 없고 문제 부모만 있습니다』, 자녀교육의 가장 중요한 화두는 큐티이다 (0) | 2020.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