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프리드먼,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43. 제노사이드』, 한진여 옮김, 내인생의책, 2015
제노사이드: 집단 학살은 왜 반복될까?
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 제노사이드로 희생된 민간인 수가 1억 7,500만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1915-8년 오스만 제국이 아르메니아인 100만여명을 몰살한 것을 시작으로, 193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600만여명의 유대인을 살해한 홀로코스트, 1994년 르완다 후투족이 경쟁 관계의 투치족 80만여명을 학살한 사건 등 광기어린 집단 살육이 이어졌습니다. (10-11)
1948년 유엔 총회에서 제노사이드 협약을 맺었고, 제노사이드 범죄는 ‘국민, 인종, 민족, 종교 집단 전체 또는 부분을 파괴할 의도를 가지고 실행된 행위’로 규정되었습니다 (협약 제2조). (12)
제노사이드가 벌어지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 한가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제노사이드라는 잔혹 행위에 동참할 것인가? 이와 반대로, 죽음을 각오하고 범죄에 저항할 것인가? 아니면, 아무 것도 하지 않고 방관자가 될 것인가? (13)
1095년 시작된 십자군 원정에서 십자군은 독일 지역에 있는 유대인 공동체를 파괴하려고 했습니다... 1206년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세운 이후 1368년까지 계속된 정복전쟁에서, 이란에서는 인구의 75펴센트가 넘는 사람들이 살해를 당했습니다... 1478년부터 1700년대까지 스페인 종교 재판동안 가톨릭교회는 기독교 인단자, 유대인, 이슬람 교도 등을 피고인으로 삼았고, 그들은 형식적인 재판을 받고 화형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스페인 종교 제판은 가장 잔인한 종교 재판으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1800년대 중반 미국 정부는 북아메리카 대륙 남동부에 있던 원주민들을 강제 이주 시켰습니다. 강제 이주에서 4000명의 체로키 족을 포함해 1만 5000명의 원주민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20-27)
제노사이드에서 가장 뚜렷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지배 권력을 가진 자가 특정 집단 사람들에게 정체성을 바꿀 것을 강요한다는 것입니다. (25)
기독교를 믿는 아르메니아인은 이슬람교를 믿는 오스만 사회로부터 박해를 받았습니다. 아르메니아가 힘을 키워 독립 국가가 되는 것이 두려워, 1894-1896년 술탄 하미드의 대량 학살 명령을 내렸고, 10-30만여명의 아르메니아인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1914년 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과 대립하던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를 돕는다는 의심으로 아르메니아인들에 강제 노동을 하게 하고 제노사이드를 단행했습니다. (32-35)
1935년 9월, 나치는 독일 사회에서 유대인을 공식적으로 격리하는 뉘른베르크 법을 통과시켰습니다. 1938년 반유대주의 법이 통과되었고, 유대인 박해가 공개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당시 깨진 유대인 상점의 진열대 유리창 파편들이 반짝거리며 온 거리를 덮었다고 해서 이 날을 ‘수정의 밤(크리스탈 나흐트)’라고 부릅니다. (45) 많은 유대인들이 도시의 제한 지역인 ‘게토’로 보내졌습니다. 폴란드 바르샤바는 40만여명의 유대인이 살아가는 거대한 게토 지역이었습니다. 600만여명의 유대인을 포함하여 1700만여명이 나치의 손에 살해당했습니다. 사람을 더 빨리 더 많이 손쉽게 죽일 수 있는 시스템인 죽음의 수용소를 건립했습니다. 1941년 폴란드 아우슈비츠에 첫 번째 죽음의 수용소를 지었습니다. 치클론 B라는 치명적인 독가스를 개발해 사용했습니다. (-51)
덴마크에서는 나치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8,000여 명의 유대인을 안전하게 스웨덴으로 보냈습니다. 나치에 저항한 프랑스의 샹봉 마을 사람들은 5,000여명의 유대인 목숨을 구했습니다. (55)
나치의 제노사이드에 참가했던 사람들 가운데 단지 200여 명만이 정식 재판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수천 명의 사람이 나치를 지지하는 행동을 했습니다. (56)
공산주의 철학의 핵심은 사람들을 차별하는 계급이 사라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은 똑같이 재산을 가져야 하고, 이러한 철학에 따라, 크메르 루주는 시골에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을 이상적인 캄보디아의 시민이라고 믿었습니다. 배운 것도 없고, 가진 것도 없는 네악 물러탄(농민), 고등교육을 받은 도시민인 네악 트마이(신인민)는 좋은 직업과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폴포트는 이러한 계급의 차이가 모순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폴 포트는 도시에 사는 캄보디아 사람들에게 미군 전투기가 폭탄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루머를 퍼뜨렸고, 도시 사람들을 시골 지역으로 추방시켰습니다. 시골에 있는 수용소에서 공산주의자들에게 교육을 받아야 했고, 아이들은 더는 엄마 아빠 호칭을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짬이라고 불리는 소수 민족은 100만 인구의 절반이 살해당해야 했습니다. 6만여명의 캄보디아 승려들이 살해당했다고 추정합니다. 제노사이드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립니다. 폴 포트가 대상으로 삼은 특정 인종이나 정치 집단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같은 민족, 같은 국민들이었습니다. 가장 잔인하고 악마 같은 가해자라고 규정하는 역사가도 있습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은 보스니아 영토 안에 그들만의 나라를 세우기 원했습니다. 보스니아에는 이슬람교를 믿는 보스니아인, 세르비아 정교를 믿는 세르비아인, 가톨릭을 믿는 크로아티아인, 집시, 유대인, 알바니아인 등 서로 다른 민족이 함께 살아가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은 그들만의 나라를 세우기 위해 세르비아인이 아닌 사람들, 특히 이슬람교도를 모두 없애 버리기로 결정했습니다. 보스니아 내전에서는 ‘민족 청소’라는 신조어가 등장했습니다. (77)
1988년 이라크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 북쪽 쿠르드족을 몰살하기 위해 화학 무기마저 동원했고, 이는 다른 나라의 전쟁 개입으로 이어졌다. (78)
벨기에는 소수의 투치족을 활용하여 다수의 후투족을 지배했습니다. 벨기에는 두 부족 사이의 얼굴 생김새나 피부색 등에서 아주 작은 차이를 인위적으로 구분했습니다. 마음에 분열이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대부분의 제노사이드는 아주 작은 차이에 대한 분노가 쌓여서 일어납니다. 1962년 르완다가 벨기에로부터 독립했고, 후투족이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1994년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비행기가 격추되면서 제노사이드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100일만에 대락 80만 명이 학살되었습니다. 1994년 4월 20일 하루 동안 약 4만명의 사람이 살해당했습니다. 후투족은 라디오를 통해 투치족을 죽일 것을 독려했습니다. 일반 시민들도 이 잔인한 살해에 가담했습니다. 후투족 민병대는 이러한 야만적인 살인에 동조하지 않은 같은 종족을 총으로 쏴버렸습니다. 전쟁 100일째 되던 날, 투치족과 르완다 애국전선은 후투족을 물리치고 전쟁과 제노사이드를 끝냈습니다. (90-92)
실제로 유엔은 제노사이드가 시작되기 전 르완다에 유엔 평화 유지군을 배치했습니다. 후투족이 제노사이드를 계획 중이라는 것을 알았고, 보고 했지만, 분쟁 중인 상황에서 한쪽 편을 드는 것이 아니라는 답변만 들어야 했습니다. (93)
다르푸르에서 제노사이드가 시작되었을 때, 수단은 북부, 남부, 서부로 분열된 상태였어요. 내전 후 2011년 남부 지역은 남수단 공화국으로 독립했습니다. 내전이 벌어지는 동안 서부의 다르푸르는 중앙 정부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지 못했습니다. 북부 사람들은 상당수 아랍계 이슬람교, 남부는 아프리카계 이슬람교도였습니다. 2003년 다르푸르 반군이 수단 남부의 풍부한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할 것을 요구하며 북쪽 정부군 기지를 공격하면서 수단 정부에 대한 반란이 시작되었습니다. 정부군과 잔자위드(말을 탄 악마)는 살상을 전문으로 하는 잘 조직된 살인 병기였습니다. 유엔은 다르푸르 제노사이드로 인해 30만여명의 사람들이 살해당했다고 추정했습니다.
'05 선교신학 > 05-4 캄보디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n Blood Flows, The Heart Grows Softer (0) | 2022.04.19 |
---|---|
전우택, “ECCC 재판의 사회 치유적 역할” (2) | 2021.06.04 |
이소영, 『내 이름은 쏘카』, 쑤어쓰다이, 캄보디아! (0) | 2021.06.03 |
임영화, 『행복을 싣고 가는 오토바이』, 평범한 일상을 눈과 마음에 소중하게 담기 (0) | 2021.06.03 |
전우택, “킬링필드가 만든 트라우마와 사회치유 노력” (0) | 2021.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