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 선교신학/05-4 캄보디아

주캄한인선교사회, 『캄보디아 개신교 90주년 선교포럼 자료집』, Phnom Penh, Cambodia: Salt and Light Publisher, 2013

by growingseed 2017. 1. 16.

주캄한인선교사회, 한국세계선교협의회, 캄보디아 개신교 90주년 선교포럼 자료집, Phnom Penh, Cambodia: Salt and Light Publisher, 2013

A Forum for the 90th Anniversary of Protestant Missions in Cambodia

 

1. Rebecca Lee, "Influence of Khmer world-view on faith formation" : Sin and Forgiveness- What kind of God could become sin? How can such a God save? As Sochea continued in my class, he rejoiced that in Rom 6:6, he could answer the objection of the monk. The monk's understanding of sin is classical Buddhism: sin is desire that chains us to the world. ...by taking our sin, Jesus had thus chained Himself to the world? But if sin is broght to nothing, then there is freedom. We pray that he will find that only Jesus can bring this freedom. ... Cambodians believe that sin is paid for by our dood deeds, ...to receive forgiveness based on the merit of someone else, such as what Jesus has done, and not based on one's own merits must be very difficult. ... even for a person who has accepted Christ, but later falls into sin, they may not have the confidence that forgiveness comes to them because of the blood of Jesus. ... my quickly walk away from what they once believed. ... It must be very difficult to extend forgiveness to others who have wronged them, whether that person has apologised for the wrong, or have not even tried to ask for forgiveness... they are hurt by others of don't want to forgive... (45-46)

 

Gratitude and Good works - Some churches have created the Christian equivalent to demonstrate filial piety to parents, usually by Christian children washing the feet of parents and presenting gifts to them... There is no way to 'repay' (to God). (46) - Kinship ties and the family of God, fear of standing out, power encounter, leadership and authority,

 

2. Dave Manfred, "Contribution of C&MA in Cambodia mission history" : ... there wer about 10,000 Cambodian believers. In early 1975, in Phnom Penh alone, the KEC 27 churches with more than 6,000 believers attending weekly worship services. By the end of the Khmer Roughe period, our estimates are that there were only 2,000 believers left alive... Tertullian, the blood of the martyrs is the seed of the Church... (69) From 1975 to 1993, more than 65 CMA missionaries served in the Cambodian refugee camps in Thailand... Many tens of thousands made commitments to Christ during the refugee camp years.

 

3. 공베드로, 캄보디아 카톨릭 선교가 캄보디아 기독교에 준 공헌과 영향: 캄보디아 카톨릭 선교 458, 가톨릭 선교는 개인적인 전도와 방문 형태가 아니라 공동체에 영향을 주는 제도적 활동을 통한 복음전도 형태이다. 캄보디아 사람들의 문화와 전통에 적대적이기보다 복음이 천천히 마찰없이 삶의 문화로 들어가도록 노력한다. (103) 상황화와 토착화의 문제.

 

4. 이성민, 기독 NGO 사역이 캄보디아 개신교회에 미친 영향

5. Robert Oh, 선교사의 영향력과 캄보디아 교회의 자립 - patron-client issue in the context of aid dependency dynamic in Cambodia

6. Heng Cheng, Influence of ecumenical movement on Cambodia Church

7. Sylvia Reyes, Korean mission and mission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ambodia mission field. : 한국 선교사들이 교육에 대해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나 교육사역이 너무 학문적이고 신학적이어서 정작 캄보디아가 필요로 하는 기술교육, 농업 관련 교육과는 거리가 있다.

 

8. 백의성, 캄보디아 한인 선교역사 20년의 특징과 드러난 문제점들과 해결방안: 교회개척 방식이 물질적이고 세속적이다. 흔히 사역자를 고용한다. 브레이크 장치가 없는 사역과 과장된 사역은 지양되어야 한다. 많은 사역으로 인해 어느 것에도 최선을 다하지 못한다. 현지인을 존중하거나 자신과 동일시하지 않는다. 연합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당초 의도와 방향이 변질된다. 선교사간의 갈등은 종결되어야 하며 회개와 용서가 필요하다. 제자훈련을 선교사가 직접 담당해야 한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교회를 이루어 가야 한다.

 

9. Pual Han, 캄보디아 교회 적정 복음화 전략: 논찬 - 본국교회와 자국기독교의 문화와 가치를 그대로 이식하는 선교를 하고 있지 않은가? 민족 복음화 운동은 기독교가 민족 종교로 인식될 때 가능한 일이다. 캄보디아 성서공회 총무를 지낸 아룬쏙넵은 외래 종교로 인식되고 있는 캄보디아의 기독교의 문제를 심각하게 지적한 바 있다. (200)

 

10. Joseph Kong, 미국 내 캄보디아인 디아스포라 사역

11. 이교욱, 재한캄보디아인 디아스포라 선교

12. 한인 선교 20년사 요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