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프로스트, 『일상, 하나님의 신비』, 우리 일상은 거룩하다
마이클 프로스트, 『일상, 하나님의 신비』 Michael Frost, Eveys Wide Open: Seeing God in the Ordinary, Albatross Books, Australia, 1999 신학자 마르틴 부버의 명언을 언급한 적이 있는데, 그것은 우리가 이 세상을 거룩한 것과 속된 것으로 나누지 말고 거룩한 것과 ‘아직 거룩하게 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버는 이 세상의 많은 것들 속에 거룩하게 될 잠재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거룩하다고 믿었다. 그는 거룩한 것만을 추구하다가 소위 인간의 세속적 필요를 부인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59) 체스터톤, “당신은 식사 전에 감사 기도를 한다. 좋은 습관이다. 하지만 나는 연주회와 오페라를 보기 전에 기도하고, 연극..
2021. 8. 12.
마틴 슐레스케, 『바이올린과 순례자』, 날이 무뎌졌다고 연장 자체가 가치를 잃은 것은 아니다
마틴 슐레스케, 『바이올린과 순례자』, 니케 북스, 2016 에베소서에서도 자신의 마음을 방치한 사람들을 ‘무뎌진 자’, ‘감각이 없어진 자’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마음이 ‘연마된 연장’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8) 사는 일이 힘든 것이 아니라, 마음이 무뎌진 것입니다. 연장이 무뎌졌는데도 날을 갈지 않으면 온 힘을 동원해 일해야 한다는 ‘전도서’의 가르침처럼 마음을 방치하고 가다듬지 않았기 때문에 힘든 것입니다. 세상을 대하는 우리의 연장이 무뎌진 탓입니다. (19) 무딘 연장으로 일하는 바이올린 마이스터가 나무에 대한 감을 잃어버리듯, 무딘 마음으로 사는 사람은 자신이 하는 일이 옳은지, 제대로 하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없습니다. 그러면 정작 마음을 써야 하는 일을 등한시하고, 내버..
2021. 7. 12.
스코트 해프먼, 『온전한 신뢰』, 고통과 악이 왜 존재하는가
스코트 해프먼, 『온전한 신뢰』, 강봉재 옮김, IVP, 2006 cott, J. Hafemann, The God of Promise and the Life of Faith, Crossway Books, 2005 출처: https://growingbooks.tistory.com/entry/스코트-해프먼-『온전한-신뢰』-우리는-왜-존재하는가 [아빠의 서재] 6. 이 세상은 왜 고통과 악으로 가득 차 있는가? “세상 여기저기를 둘러봐도 온통 문제투성이로구나. 어떤 열등한 하나님이 세상을 만드셨기에 힘이 달려 자신의 뜻대로 할 수 없었던 것일까?” (알프레드 테니슨, Alfred, Tennyson) 1. 인간의 자유 의지 (열린 신론): 하나님은 전능하시지만 인간을 자유롭고 스스로 결정하는 독립적인 존재로 만..
2021. 6. 15.
이용규, 『떠남』, 하나님의 일하심을 구하며 나를 던지는 것
이용규, 『떠남』, 규장, 2012 자신이 몸을 던지면 혹 하나님께서 함께 하실지도 모른다는 생각만으로도 그는 자신의 생명을 걸었다. 하나님의 반응하심을 기대하며, 어쩌면, 이 단어만 가지고도 자신의 몸을 던지는 요나단의 행위를 주목하는 동안, 나는 이것이 하나님께서 내게 주시는 도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자기 주변에 지금 하나님이 붙여 주신 사람과 함께, 그저 자신의 전부를 던질 때 하나님이 일하실 것을 기대했다. 그리고 그의 믿음대로 되었다. 내게 보여 주시는 사역은 내가 하나님의 계획에 대해 자세히 알고 이해한 후에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다 이해하지 못하지만 그저 그 분의 인도하심 가운데 또 한 번 내 삶을 던지라는 도전으로 다가왔다. (60) https://www.youtube.co..
2021. 6. 14.
헨리 나우웬, 『이는 내 사랑하는 자요』, 사랑받는 자로서 사랑받는 자가 되어간다
헨리 나우웬, 『이는 내 사랑하는 자요』, IVP, 1995 Henri J.M. Nouwen, Life of the Beloved: Spiritual Living in a Secular World,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94 이혼과 파경을 경험했던 유태인 기자와의 교제를 바탕으로 쓰여진 책 우리가 사랑받는 자일 뿐 아니라 사랑받는 자가 되어 가야 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하나님의 자녀일 뿐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 가야 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형제요 자매 일뿐 아니라 형제요 자매가 되어 가야 한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36) 사랑받는 자가 되어 가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에서 사랑받는 자가 되었다는 진리를 구현하는 것이다. (3..
2021. 4. 27.
헨리 나우웬, 『세상의 길 그리스도의 길』, 상향성을 향한 충동을 거부하고 말씀을 붙잡으라
헨리 나우웬, 『세상의 길 그리스도의 길』, IVP, 2003 Henri J. M. Nouwen, The Selfless Way of Christ, 1981 시험: 상향성을 향한 충동 우리가 계속 직면하는 세 가지 시험은 상황 부합의 시험, 이목 집중의 시험 그리고 권력 화복의 시험이다. 이는 모두 우리를 유혹하여 세상의 높아지는 길로 되돌아가게 하고, 세상에 그리스도를 나타내야 하는 우리의 임무를 잊고 한 눈을 팔게 만드는 시험들이다. (38) (1) 돌을 떡덩이가 되게 하는 것. 이것은 상황에 부합하라는 시험이다. 이는 어떤 상황에서 필요한 일, 따라서 사람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일을 하라는 시험으로서 생산성을 우리 사역의 기초로 삼으라는 시험이다… 이 시험은 우리 정체성의 중심부를 건드린다. 우..
2021. 4. 27.
헨리 나우웬, 『세상의 길 그리스도의 길』, 제자도는 우리에게 하향성을 요구한다
헨리 나우웬, 『세상의 길 그리스도의 길』, IVP, 2003 Henri J. M. Nouwen, The Selfless Way of Christ, 1981 소명: 하향성으로 부르심 우리의 사역이 인격적인 만남으로부터 비롯되지 않을 때, 그것은 곧 따분한 일상이나 지루한 일거리로 전락하고 만다. 한편 우리의 영적인 삶이 활발한 사역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그 역시 얼마 안 가서 내적 성찰이나 자기 분석으로 전락하여 그 역동성을 잃게 된다. (11) 우리의 삶의 형태가 어떻든 간에, 제자가 되라는 예수님의 부르심은 총체적이고 모든 것을 망라하며 모든 것을 포함하는 동시에 전적인 헌신을 요구한다. (15) 세상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그리스도를 따른다든가, 다른 이들에게도 똑같이 귀를 기울이면서 동시에 ..
2021. 4. 27.
헨리 나우웬, 『상처입은 치유자』, 자신의 내적 경험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다른 사람을 인도할 수 있다
헨리 나우웬, 『상처입은 치유자』, 두란노, 1999 Henri J. M. Nouwen, The Wounded Healer, 1972 자신의 내면의 삶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고, 자신의 다양한 경험에 구체적으로 이름을 붙여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더 이상 자아의 희생자가 되지 않습니다. 그는 성령님께서 들어 오시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들을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표현이야말로 미래의 영적 지도자가 지녀야 할 기본 자질이라고 나는 믿습니다. 자신의 경험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람만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정확한 원천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역자의 역할은 목회적 대화, 설교, 가르침, 교회 의식 등과 같은 모든 성직 활동을 통해서 사람들이 자신 속..
2021. 4. 27.
Jerry Sittser, A Grace Disguised, 상실이 아닌 상실에 대한 나의 반응이 내 삶을 결정짓는다
Gerald L. Sittser, A Grace Disguised: How the Soul Grows Through Loss,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1995, 2004 Loss is as much a part of normal life as birth, for as surely as we are born into this world, we suffer loss before we leave it. It is not, therefore, the experience of loss that becomes the defining moment of our lives, for that is as inevitable as death, which is the last loss a..
2020.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