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0

Paul Fleischman, The Matchbox Diary, 성냥갑 속 할아버지의 추억 초창기 미국으로 이민 온 이탈리아 사람들의 생활상을 한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그려낸 책. 정확히는 할아버지의 성냥갑 속에 있는 추억이 손녀 딸에게 펼쳐지는 구성이다. 가난한 이탈리아 한 시골에서 먹을 것이 없이 배고픈 유년 시절을 보내던 화자에게 아버지는 어릴 적 미국으로 돈을 벌러 떠난 사진 속 추억이다. 어머니와 누나 넷 모두 글을 읽을 수 없어 아버지가 보내 온 편지를 동네 한 형을 통해 듣게 된다. 글을 알던 그 소년이 갖고 있던 다이어리는 화자에게 일기를 쓰고 싶은 갈망을 갖게 한다. 아버지가 부쳐 온 뱃표를 타고 폭풍을 지나 열아홉날이 걸려 미국 뉴욕 엘리스 섬에 도착한다. 수많은 이민자들이 거쳐간 곳이다. 온 가족이 아버지를 만나는 장면에서 표정을 생생하게 그려 놓았다. 생선 통조림 공장에서의.. 2020. 5. 7.
Max Lucado, Most Marvelous Gift, 지금 너로 충분해 "I love being your maker." "This year I want to do something really big for you." "You do?" Eli paused and asked, "Like what?" "I don't know yet, but I'll think of something." "Just being with you is enough for me, Punchinello," the woodcarver told him. "But I want to do more. I like you. I love you! I want all to see - without you, Eli, there'd be no me!" '메이커 데이'에 엘리를 위해 멋진 것을 만들려는 웸믹들의 욕심과 더 .. 2020. 5. 7.
Max Lucado, The Crippled Lamb, 하나님이 나를 위해 마련해 두신 그 곳, 그 시간 Max Lucado, The Crippled Lamb, Scholastic Inc., 1994 맥스 루케이도가 그의 세 딸 제나, 안드레아, 사라와 함께 쓴 이야기. 하얀 털을 가진 양떼 사이에서 혼자 까만 점 투성이에 다리를 저는 조쉬는 언제나 외톨이다. 다른 친구들처럼 마음껏 뛰어 다닐 수 없어 슬퍼하는 그에게 유일한 위안은 친절한 소 아비가일. 새로운 목초지를 찾아 양떼들이 떠나지만 조쉬만 남겨지고. 그 차가운 어두운 밤 마굿간에는 갓 태어난 아기가 구유에 누이게 된다. 자신의 양털로 아기를 따뜻하게 덮어주던 조쉬는 자기가 왜 다른 이들과 달라야 했는지, 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었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된다. 요한복음 9장. 눈이 먼 맹인을 보며 묻는 제자들에게 이는 누구의 죄 때문이 아니며 하나님의.. 2020. 5. 6.
Max Lucado, The Song of the King, 내가 들어야 할 유일한 소리 나라에서 가장 용맹하기로 이름난 세 기사들에게 공주의 남편감을 찾는 왕의 미션이 주어진다. 모두가 두려워하는 어두운 숲을 통과해 성을 찾아오는 것이 그것인데, 길을 찾기 위해 그들은 하루 세 번 왕이 연주하는 플루트 소리를 들어야 한다. 많은 날이 지나 숲을 뚫고 도착한 기사는 그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그가 왕자와 함께 동행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숲에서 부딪혔던 가장 큰 어려움은 어둠의 위협도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왕의 플루트 소리를 흉내내는 대적들의 피리 소음이었다. 왕자만이 왕이 가진 것과 똑같은 플루트를 가지고 같은 노래를 연주할 수 있었고, 그 연주를 무수히 들었던 기사는 진짜를 가려낼 수 있었던 것이다. 메시지는 매우 기독교적이다. 우리가 매일을 살면서 듣는 다른 소리들은 우리를 길에서.. 2020. 5. 6.
Max Lucado, Just In Case You Ever Wonder, 나는 항상 네 편이야 잠들기 전 자녀들과 함께 읽기 좋은 책, 아이가 얼마나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인지 엄마 아빠의 목소리를 통해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아이가 자라가면서 겪을 변화를 미리 예고하며 언제나 함께 있을 것이라는 따뜻한 확신을 주는 부분이 좋다. 3.5/5 Lon, long ago God made a decision - a very important decision... one that I'm really glad He made. He made the decision to make you. ... You're bigger now and do more things. You can walk and run. You can play and talk. You can eat and sing and look at books. Y.. 2020. 5. 6.
Gerda, The Little Donkey, 세상의 목소리를 이기고 가는 길 Gerda Marie Scheidl, The Little Donkey, North Books, 1988 왕이 나신 소식을 듣고 주인을 떠나 길을 나선 당나귀는, 그를 무시하는 숱한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베들레헴까지 가서 마굿간에 나신 아기 예수님을 만난다. 왕을 만나러 가는 길은 많은 반대와 외로움을 무릅쓰고 가는 길이다. "Nonsense! You would not be allowed to visit a king; you would be chased away!" "No!" he said stubbornly to himself. "No, I will not give up my journey. I will go on, I will visit the new King." He stamped his.. 2020. 4. 29.
Ludwig Bemelmans, Madeline and the Bad Hat, 매들라인과 페피토의 갈등 "au secours! (Help!)" In an old house in Paris, That was covered with vines, Lived twelve little girls, In two straight lines. They left the house at half-past-nine, in two straight lines, in rain or shine. The smallest on was Madeline. http://www.madeline.com/ Home MADELINE TM & © 2019 Ludwig Bemelmans, LLC www.madeline.com Madeline is a media franchise that originated as a series of children's.. 2020. 4. 28.
Laura Vaccaro Seeger, Green, 이렇게 초록이 다양할 줄이야 이렇게 초록색이 다양할 줄이야. 색감이 참 예쁘다. 풍경을 바라볼 때 더 주의깊게 색깔을 보아야겠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주고 싶은 책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EGqF2Ai6IxY 2020. 4. 28.
Katia Novet Saint-Lot, Amadi's Snowman, 글을 배우고 싶어하게 한 눈사람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린 그림이 아프리카 사람과 풍경을 따뜻하게 표현해 내었다. 아마디는 여느 형들처럼 돈을 벌고 싶어했는데, 우연히 서점에서 만난 친구가 읽던 눈사람 그림책에 마음을 뺏기고 글자를 배우기로 마음을 먹는다. 집으로 돌아온 아마디는 치코딜리 선생님이 사다 놓으신 바로 그 책을 보고서 너무 기뻐 어쩔줄을 몰라한다. 가장 감동적인 장면이다. 아마디가 글을 배우고 싶어할 때까지 마음과 정황을 잘 묘사해 놓은 것이 인상적이다. "I'm an Igbo man of Nigeria," Amadi replied. "I'll be a trader. I don't need to read to do business." Down the road, he went slowly past a few older boys w.. 2020. 4. 28.
진 에드워드, 『디도의 일기』, 바울의 2차 전도여행 진 에드워즈, 『디도의 일기』, 생명의 말씀사, 2015 Gene Edwards, The Titus Diary, Jacksonville,FL: SeedSowers Publishing House, 1999 눈가가 촉촉해진 루디아가 말했다. 그들이 옆방으로 들어가자, 형제 자매들은 나지막하게 찬양을 부르기 시작했다. 누가가 친구들을 반가이 맞았다. “바닥에 엎드리세요. 등을 좀 살펴봐야겠어요.” 바울은 디모데를 불러 달라고 했다. “오, 맙소사!” 바울의 등을 보자마자 누가가 탄식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군요. 등짝이 그야말로 만신창이에요. 안디옥교회에서 이 소식을 들으면 속깨나 상하겠어요.” …”누가 선생, 난 이 곳 빌립보에 채 3개월도 머물지 못했네 이제는 어쩔 수 없이 더나야 할 판이고.. 2020. 4. 27.
Aldous Huxley, Brave New World, 조작되고 통제된 가짜 행복을 거부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만들어진 전체주의 사회, 미래의 디스토피아를 그려낸 헉슬리의 1931년작, 멋진 신세계. 100년 가까이 전에 쓰여졌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요즘 영화화된 소설들만큼이나 스토리가 설득력 있다. 미래 통제 계급 사회의 디스토피아적 속성을 그려냈다. 존과 총통의 마지막 대화가 책의 메시지를 잘 드러낸다. “We believe in happiness and stability. A society of Alphas couldn’t fail to be unstable and miserable. Imagine a factory staffed by Alphas—that is to say by separate and unrelated individuals of good heredity and con.. 2020. 4. 26.
Lane Smith, Grandpa Green, 정원에 수놓은 할아버지의 추억 He was born a really long time ago, before computers or cell phones or television... ...He used to remember everything. Now he’s pretty old and he sometimes forgets things like his favorite floppy straw hat. But the important stuff, the garden remembers for him. 처음에는 그림에 나오는 아이의 이야기인 줄 알았다가 점점 더 펼쳐지는 어른 이야기에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책장을 넘기면서 아이의 입으로 들려주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라는 걸 알게 된다. 할아버지가 정원을 가꾸며 손주에게 들려 준 자신의 추억일.. 2020. 4. 26.
Tim Marshall, Prisoner of Geography, 지리를 통한 세계 정세 이해 Tim Marshall, Prisoner of Geography, Elliott and Thompson Limited, New York: NY, 2015 한 국가가 처한 지리적 환경이 정치와 경제 나아가 그 장래를 결정 짓는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메시지이다. 책은 러시아부터 시작해 중국, 미국, 서유럽, 아프리카, 중동, 인도 파키스탄, 한국과 일본, 남미, 북극까지 아우른다. 러시아가 왜 우크라이나에 집착하는지, 중국이 왜 신장지구와 티베트의 독립 요구를 철저하게 억누르고 있는지. 특히 분쟁 지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세계 정세의 큰 그림을 가지는데 있어서 가이드가 될 수 있는 책이다. Operation World 세계기도정보를 가지고 기도를 하고 있다면 다른 한편으로 역사적 배경을 더 깊이 이해하고 선.. 2020. 4. 22.
윤태호, 사일구, 아이들에게 들려주어야 할 이야기 "세상을 어찌하는 건 훗날에 기회가 오겠지?" "훗날? 우리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하고 결혼한 이후를 말하는겐가? 젠장 그 때까지 이승만이 대통령하는 꼴을 보자는건가 뭔가?" 나중에 꼭 아이들에게 들려주어야 할 이야기들이 있다. 비겁하지 않은 아빠의 삶을 남겨 주기 위해서. 어떤 희생을 하더라도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고 옳은 일을 위해 싸우는 자리에 서야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0-diC6LNF3A https://www.youtube.com/watch?v=6VDOMWN1r98 2020. 4. 20.
Craig L. Symonds, The Battle of Midway, 경직된 조직 문화의 위험성 Craig L. Symonds, The Battle of Midwa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세계 2차대전 태평양 전쟁의 전세를 바꾼 미드웨이 해전. 저자는 야마모토와 니미츠 제독의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차이에서 전쟁의 결과를 찾고 있다. 니미츠 제독이 상부의 암호해독과 지시를 따르지 않고, 일본 문화를 잘 알고 있다고 여겨지던 하관 로슈포트의 암호 해독을 신뢰하고 미드웨이로 항공모함을 출정시키는 결정을 내린 것에 반해, 여러 반론이 제기 되었음에도 야마모토 제독의 전략을 그대로 실행한 일본 해군의 실책은 결정적인 패착을 가져왔다. 구성원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들을 수 없고 그것이 반영되지 않는 조직 문화는 위험하다. The Japanese leadership problems.. 2020. 4. 20.
Uglydolls, I'm broken and it's beautiful 아름다운 불완전함 완벽하지 않아서 아름다워 Moxy: Guys. What if this is the way to the Big World? Babo: But Ox says there is no Big World and he… Moxy: He didn’t know there was something else out there. But we do. This pipe, it’s real, and it has to lead somewhere. Maybe it’s the Big World. If anyone can figure it out, it’s us. 목시의 캐릭터가 좋다. 쉽게 좌절하지 않는다. 건강한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 못 생긴 인형이라고 어떤 아이도 사랑해주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메시지에 쉽게 굴복하지 않는다. "I.. 2020. 4. 16.
Glenn J. Schawartz, When Charity Destroys Dignity, 현지 자원 활용이 가장 중요하다 Schwartz, Glenn J. 2007. When Charity Destroys Dignity: Overcoming Unhealthy Dependency in the Christian Movement. Lancaster, PA: World Mission Book Service This book is about avoiding or overcoming unhealthy dependency in the Christian movement. It contains a description of the dependency syndrome, i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how to overcome it. Though unhealthy dependency is widespread, the.. 2020. 4. 13.
신경림 외, 『한국선교 긴급 점검』, 한국 선교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의존성이다 신경림 외, 『한국선교 긴급 점검』, 홍성사, 2017 외부에서 후원받는 것에 익숙해진 한국 선교사들 중에는 굳이 현지에서 자원을 찾으려 노력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더욱이 후원 교회들이 놀라울 정도로 '빠른 선교'에 익숙할수록 이 문제는 고착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선교사 입장에서는 하던 대로 계속 하거나, 더 많은 성과를 이루기 위해 같은 방법을 더 열심히 사용하기 때문이고 해야 할 사역은 많고 시간은 모자라기 때문에 가난하고 어려운 현지에서 자원을 마련하려 애쓰는 것보다 후원 대상자와 교회에 부탁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35) 2020. 4. 12.
로렌드 알렌, 『바울의 선교 vs 우리의 선교』, 선교사역의 의존성 문제 "지도자와 교사와 통치자를 보내달라고 우리를 바라본다. 자신들이 필요를 자급 자족할 능력이 있다는 조짐이 아직까지 보이지 않는다. 날마다 해마다 우리가 지난 50-60년 동안 인력과 돈을 제공해 온 바로 그 사역을 위해 지금도 사람과 돈을 보내달라는 요청을 끊임없이 받으며, 장차 요구의 성격이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사람과 돈을 보내지 않으면 선교 사역이 망할 것이고, 회심자는 떨어져 나갈 것이며, 어렵게 얻은 선교지를 잃고 말 것이라고 한다" (222) 2020. 4. 12.
볼프 하란트, 『저 아름다운 초원을 봐』, 사람들의 욕심은 끝이 없다 Wolf Harranth, Winfried Opgenooth, Da ist eine wundershoene wiese, 1985 1. 사람들이 초원에 제일 먼저 만들기 시작한 것은 무엇인가요? 2. 울타리를 만들고 길을 낸 사람들은 또 무엇을 만들었나요? 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3. 초원은 결국 어떻게 변해버렸나요? 사람들은 무엇을 찾으러 떠났나요? 4. 내가 더 편해지려고 자연을 아프게 하는 행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초원은 아직 넓고 충분하죠" 역설적으로 들리는 사람들의 이 말은 오늘 우리에게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이야기 속 사람들은 다른 누가 아닌 우리들이다. 보다 안락한 삶을 누리고자 이기심으로 자연을 훼손시키고 있지만 결국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자연을 어떻게 지키고 보호할 수 있을.. 2020. 4. 9.
메리 도우니, 『왕께 드리는 귀한 선물』, 꼬마 한이가 전해 준 보물 메리 도우니, 『왕께 드리는 귀한 선물』, 두란노, 1990 1. 한 왕조의 천문학자 로우조와 제앙, 그리고 꼬마 한이는 별을 보고 어떤 결심을 내렸나요? 2. 황금빛 모래 사막 한 가운데서 강도들을 만났을 때 어떻게 위기에서 빠져 나왔나요? 3. 이야기에서 서쪽에서 온 상인 세쿤다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4. 마침내 도시 남쪽에서 만난 작은 소년은 누구인가요? 5. 꼬마 한이가 전해 준 선물은 무엇인가요? 그 선물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이었나요? 성경의 동방박사 스토리를 상상을 더해 각색한 이야기. 중국 왕조에서 예루살렘에까지 찾아왔다는 상상력은 다소 신선한 면이 있다. 2020. 4. 9.
카, 우승컵은 그냥 빈 컵일 뿐이야 1. 맥퀸은 왜 피스톤컵을 갖고 싶어 했을까? 2. 맥퀸은 왜 피스톤컵을 포기하고 더 킹을 도와주었을까? 3. 맥퀸의 생각과 가치관이 바뀌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4. 사람들은 왜 성공하고 싶고 유명해지고 싶어할까? 내가 이루고 싶은 성공이 단지 빈 컵일 뿐이라면 우리는 인생의 어떤 목표를 가져야 할까? "It's just an empty cup." 피스톤컵을 꿈꾸며 우승 경쟁을 펼쳐 온 레이싱카, 라이트닝 맥퀸. 우연한 사고로 시골 마을에 발이 묶이게 된 그는 그 곳에서 자신이 추구해 온 인생의 목표가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마지막 레이싱 경주에서 고의적인 충돌 사고로 경주로 밖에 밀려난 더 킹을 보게 된 매퀸은 피스톤컵을 받을 수 있는 우승 기회도 포기한 채 더 킹이 결승선을 밟을 수 있게 돕.. 2020. 4. 9.
마르쿠스 피스터, 『무지개 물고기』, 반짝이 비늘이 소중했던 이유 물고기 비늘을 표현하기 위해 반짝거리는 재질의 종이를 중간 중간 사용한 것이 예쁘다. 책을 읽고 하진이와 질문을 나누었다. 1. 파란 꼬마 물고기가 반짝이 비늘 한 개만 달라고 했을 때 무지개 물고기는 기분이 어땠을까? - "하진: 화가 났지. 자기가 엄청 아끼는 거니까" 2. 반짝이 비늘이 무지개 물고기한테 왜 그렇게 소중했을까? - "하진: 자기를 아름답게 만들어 주니까" 3. 반짝이 비늘이 사라지니까 무지개 물고기가 안 아름다워졌어? - "하진: 응, 하지만 친구를 많이 갖게 되었어" 4. 하진이에게는 반짝이 비늘처럼 가장 아끼는 게 있어. 왜 그렇게 소중해? - "하진: 장난감. 폴리 같은 것들은 내가 좋아하는 거라서 아끼는거야." 5. 하진이에게 장난감을 달라고 하면 어떻게 할거야? "하진: 무.. 2020. 4. 8.
오석환, “후원자와 의뢰인 그리고 교회 성장학이 캄보디아에 끼친 영향”, 캄보디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의 과점 현상 오석환, “후원자와 의뢰인 그리고 교회 성장학이 캄보디아에 끼친 영향”, 「한국 선교 Korea Missions Quarterly」, vol.18, No.4, 통권 70호, 2019, pp158-175 …캄보디아 도시 환경에서는 캄보디아 기독교인들은 의뢰인으로서 많은 선교사가 자신들을 의뢰인으로 만들려고 경쟁한다는 점에서 과점 현상이 만연하고 있다. (163) 후원자인 한국 선교사들은 대부분 의뢰인인 캄보디아 목회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목사님’이라는 존칭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이러한 현상은 포스터가 관찰한 “두 파트너의 상대적인 지위를 언어로 확인”하는 대목이다… (165) 조나단 봉크는 “한국 교회가 수적 성장을 위한 공식과 그에 따른 기업화를 강조하는 것이 한국 교회와.. 2020. 4. 8.
John Stott, The Cross of Christ, 십자가의 중심성 1.) “From Jesus’ youth, indeed even from his birth, the cross cast its shadow ahead of him. His death was central to his mission. Moreover, the church has always recognized this.” (p23) 2.) “The fact that a cross became the Christian symbol, and that Christians stubbornly refused, in spite of the ridicule, to discard it in favor of something less offensive, can have only on explanation. It means.. 2020. 3. 28.
Una Lucey-Lee, "Anyone Can Lead", 리더로서의 부정적인 경험 속에서도 자랄 수 있다 Una Lucey-Lee, "Anyone Can Lead", Small Group Leaders' Handbook, 2009, p154-164 Anyone Can Lead 1. What does the Bible say about the leadership? 1.1 One such substitute word to describe leaders in the Bible is shepherd. What can you learn from Ezekiel 34 about the leadership? 1.2 God himself is our leader. What can you see of God’s purpose and plan in Exodus 3? 1.3 Leaders are to set themselves .. 2020. 3. 26.
ChuaWeeHina, The Making of a Leader, 실패와 경건의 본이 되라 ChuaWeeHina, "Leaders as Examples," The Making of a Leader: A Guidebook for present and future leaders, IVP: Downers Grove, IL, 1987 All of us learn by example. (47) As with all outlines, there is room for us to fill in different colors and details. If we insist on imposing a rigid pattern on everyone's life, we shall overlook God's gifts of creativity and his love of variety. (56) I have been d.. 2020. 3. 26.
ChuaWeeHian, The Making of a Leader, 리더는 목자여야 한다 ChuaWeeHina, "Portraits of Leadership", The Making of a Leader: A Guidebook for present and future leaders, IVP: Downers Grove, IL, 1987, p31-46 Portraits of Leadership: Shepherds 1. Read Psalm 23 and draw an image of the shepherd. The sovereign lord is no distant deity. He enters into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his people. As shepherd, the Lord provides food and rest for his sheep. He refresh.. 2020. 3. 26.
Jay Anderson, Passing the Baton, 다음 리더를 발굴하고 투자하라 Jay Anderson, "Passing the Baton", Small Group Leaders' Handbook, 2009, p136-153 Passing the Baton Introduc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you can do as a leader is pass along the training you have received to another (potential) leader… If you fail to multiply yourself as a leader – or at the very least replace yourself – the mission of your InterVarsity chapter or your congregation, and .. 2020. 3. 25.
김선호, 『초등 사춘기, 엄마를 이기는 아이가 세상을 이긴다』, 학습 목표를 버리고 학습 질문을 잡아라 1. 학습: 복습 위주로 깊이 있게 공부하게 한다 복습 위주의 깊이 있는 자료조사를 통한 습득이 중요하다. 많은 교육자가 창의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선행’보다는 철저하게 파고드는 ‘복습’을 강조한다. (172) 버커니어식 학습 – 인터넷과 책을 통해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을 변화시키는 지식을 익혔을 때만 진정한 배움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2. 학습: 질문 공책을 만들라 독서공책 대신 아이 스스로 의문을 가진 것에 대한 질문 공책을 만들게 해야 한다. 그리고 관련 내용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과정을 적게 하는 것이 아이들이 앞으로 살아갈 시대에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매사 ‘왜?’라는 질문이 생기도록 유도하는 공부 습관이 중요하다. .. 2020.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