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라이트,『바울평전』, 다소에서 침묵의 10년
Tom Wright, Paul: A Biography, HarperCollins, 2018 톰 라이트,『바울평전』, 박규태 옮김, 비아토르, 2020 1. 열심 이갈 아미르, 이스라엘 라빈 총리 암살 (1995) 사울시대에 ‘열심’을 가장 강조한 텍스트 가운데 하나였던 마카베오 1서에서는 아브라함과 비느하스를 다룬 두 본문이 가까이 붙어 등장한다.하나님과 율법을 열렬히 따르던 이 소년은 이 모든 본문을 장래에 참조하려고 고이 간직했으리라. 그는 하나님과 토라를 열렬히 앙망하게 된다... 다소의 길거리에서 다른 민족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아주 똑똑히 알았던 이 소년이 다른 민족과 같은 행동을 하는 하나님의 백성의 생각에 역겨움과 매력을 동시에 느꼈다가, 비느하스의 열심히 보여주는 생각에 흥분을 느낌과 동시..
2021. 9. 26.
존 스토트, 『제자도』, 의존과 죽음은 제자도의 핵심 자질이다
존 스토트, 『제자도』, IVP, 2010 John Stott, The Radical Disciple, Inter-Varsity Press, England, 2010 보통 우리는 선택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철저한 제자도를 회피한다. 적당히 헌신할만한 영역을 고르고, 대가를 치러야 할 듯한 영역은 피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17) 1. 불순응, 2. 닮음, 3. 성숙, 4. 창조세계를 돌봄, 5. 단순한 삶, 6. 균형, 7. 의존, 8. 죽음 교회는 세상에 대해 이중적인 책임을 가진다. 우리는 세상 속에 살고, 세상을 섬기며, 세상에서 증인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다른 한편 우리는 세상에 오염되지 말아햐 한다. 세상에서 도피하여 거룩함을 보존하려 해서도 안 되고, 세상에 순응하여 거..
2021. 9. 2.
진 에드워드, 『디모데의 일기』, 사역자이기 전에 한 명의 형제이다
진 에드워드, 『디모데의 일기』, 박상은 역, 생명의 말씀사, 2017 Gene Edwards, The Timothy Diary, SeedSowers Publishing House: Jacksonville, FL, 2000 1. 교회 공동체에 속하지 않았던 아볼로: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부부가 아볼로의 설교를 처음 들은 것은 에베소의 유대인 회당에서였다... 그러나 아굴라와 브리스길라가 보기에 아볼로는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게 분명했다. 브리스길라는 아볼로를 점심 식사에 초대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했고, 아볼로는 주저 없이 받아들였다... 아볼로에게 신자들의 모임이 있는 도시로 가라고 권하며 고린도를 추천했다. 아볼로가 고린도에 정착해 살면서 그 곳의 모임에 속하기를 기대했다...
2021. 9. 2.
마이클 프로스트, 『일상, 하나님의 신비』, 우리 일상은 거룩하다
마이클 프로스트, 『일상, 하나님의 신비』 Michael Frost, Eveys Wide Open: Seeing God in the Ordinary, Albatross Books, Australia, 1999 신학자 마르틴 부버의 명언을 언급한 적이 있는데, 그것은 우리가 이 세상을 거룩한 것과 속된 것으로 나누지 말고 거룩한 것과 ‘아직 거룩하게 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버는 이 세상의 많은 것들 속에 거룩하게 될 잠재성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거룩하다고 믿었다. 그는 거룩한 것만을 추구하다가 소위 인간의 세속적 필요를 부인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59) 체스터톤, “당신은 식사 전에 감사 기도를 한다. 좋은 습관이다. 하지만 나는 연주회와 오페라를 보기 전에 기도하고, 연극..
2021. 8. 12.
존 캐버너,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 탐욕이 고통하는 이들의 절규를 듣지 못하게 한다
존 캐버너,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 박세혁 옮김, 2011, 2017 (개정판) John F. Kavanaugh, Following Christ in a Consumer Society, Maryknoll, NY: Orbis Books, 1981, 1991, 2006 이 책이 주장하는 바는 이런 것이다. 참된 신앙이란 우리의 개인적인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표현되고 구체화되는 정의에 의해 구성된다. 당신이 관심을 갖는 문제들은 도덕과 종교의 문제인 동시에 경제와 정치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당신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문제들 - 군비, 사형 제도, 인종주의 등 - 역시 정치적인 문제인 동시에 종교적이며 영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정의가 없는 곳에 신앙도 없다. 신앙을 온전히 실천할 때..
2021. 8. 4.
크리스토퍼 라이트,『하나님의 선교』, 성경 본문 자체가 선교 활동의 산물이다
근본적으로 우리의 선교는 우리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부르심과 명령에 따라, 하나님 자신의 역사 안에서, 하나님의 피조물의 구속을 위해, 헌신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25) 선교적(missional): 하나님의 선교의 역동적 의의와 오늘날 기독교 선교와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해석을 뜻한다. “Our God Is a Missionary God", John Stott, The Comtemporary Christian (Downers Grove, Il, Inter Varsity Press, 1992), pp.321-326 현대를 사는 그리스도인 (IVP) 1. 선교적 해석학을 찾아서 “(선교 명령의 타당성은) 따로 분리된 본문들과 사건들이 아니라, 신구약의 중심 메시지에서 끌어내야 한다. 오늘..
2021. 7. 31.